Q. 3차 부스터 꼭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예방효과를 높이고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줄이는 차원에서 3차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백신접종은 강제가 아니라 선택접종입니다.1. 현재 국내에선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 이상 지난 60대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등 우선접종 직업군, 50대 연령층 등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진행 중입니다.2. 최근 11월 17일 정부에서 부스터샷 접종간격을 수정하였는데, 60세 이상 고령층, 18-59세 기저질환자, 요양병원 입원환자, 요양시설 입소자, 대학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 등 경우에는 기본접종 완료 후 '4개월'로, 50대 연령층, 우선접종 직업군(군인, 경찰 등) 등을 대상으로 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완료 후 '5개월'로 각각 단축해 조기에 추가접종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3. 얀센 백신 접종자와 면역 저하자 등은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입니다.4. 현재 확진자 증가로 인해 모든 추가 접종 대상자의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 접종 지침에 따르면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집단은 추가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4주 앞당길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경우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부스터샷 대상을 확대중에 있어서, 앞으로 부스터샷 접종대상이 우리나라에서도 확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Q. 아스트레나제네카1,2차 맞고 부스터샷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면역저하자로 분류되셨으면 2차 접종 후 60일이 지나고 부스터샷을 맞으시면 됩니다. 1. 현재 국내에선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 이상 지난 60대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등 우선접종 직업군, 50대 연령층 등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진행 중입니다.2. 최근 11월 17일 정부에서 부스터샷 접종간격을 수정하였는데, 60세 이상 고령층, 18-59세 기저질환자, 요양병원 입원환자, 요양시설 입소자, 대학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 등 경우에는 기본접종 완료 후 '4개월'로, 50대 연령층, 우선접종 직업군(군인, 경찰 등) 등을 대상으로 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완료 후 '5개월'로 각각 단축해 조기에 추가접종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3. 얀센 백신 접종자와 면역 저하자 등은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입니다.4. 현재 확진자 증가로 인해 모든 추가 접종 대상자의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 접종 지침에 따르면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집단은 추가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4주 앞당길 수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경우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부스터샷 대상을 확대중에 있어서, 앞으로 부스터샷 접종대상이 우리나라에서도 확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Q. 얀센 부스터샷은 화이자나 모더나 부작용이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화이자 모더나 둘다 mRNA 방식의 백신으로 부작용면에서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다만 존스홉킨스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진 954명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후 반응 여부 연구결과를 보면 발열, 두통, 전신반응 등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증상이 1차 접종시 모더자 접종자가 화이자에 비해 1.8배 이상반응 보고가 많았다고 합니다. 2차로 가면 더욱 이러한 차이가 벌어져 모더나 백신 접종자가 화이자에 비해 이상반응이 2.4배나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또한 캐나다 공중보건청이 자국 내 백신 접종자를 바탕으로 비교한 결과, 화이자 백신보다 모더나 백신을 맞은 사람이 심장 염증을 일으킬 확률이 더 높았다고 합니다. 특히 30대 미만 접종자에 대해서는 모더나가 화이자보다 심근염, 심낭염이 5배정도 더 높게 발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