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식욕억제제 장기간복용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주신 식욕억제제가 만약에 펜터민 같은 향정신성 의약품이라면 장기복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펜터민 계열의 약을 드신다는 가정하네 설명드리겠습니다.펜터민은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시켜 배고픔을 감소시킵니다. 즉 식욕이 억제되지요이렇게 펜터민, 펜디메트라진, 디에틸프로피온, 마진돌 성분은 강력한 중추신경 흥분제인 암페타민과 작용이 유사합니다. 도파민 분비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도파민의 재흡수를 차단해 약물에 대한 보상 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의존성이 생깁니다.식욕억제효과에 대한 내성은 보통 수주일 내로 나타나는데 이 경우 약물 용량을 높여 복용하시면 환각, 경련, 혼수상태, 사망 등에 이를 수 있습니다.그외에 가슴 두근거림, 빠른 맥박, 혈압 상승, 숨이 참, 몸 떨림, 가슴 통증, 불안감, 현기증, 불면증, 두통, 입 마름, 발작, 성적 충동, 두드러기 등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정맥, 고혈압, 저혈압 등 순환계에 심각한 이상반응이 생길 수 도 있습니다.환자의 안전을 위해 4주이상 복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드리며 최대 3개월 이상 약을 복용하거나 다른 식욕억제제와 함께 먹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
Q. 항히스타민제 부작용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항히스타민제는 뇌를 잘 통과하느냐에 따라 1세대와 2,3세대가 나눠지고 세대가 높아질수록 뇌를 덜 통과해서 덜졸립고 지속시간이 깁니다. 1)부작용1. 중추신경계 부작용: 1세대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수면/각성 주기에 영향을 미쳐서 주간에 졸림, 피로감, 기억과 집중장애, 작업능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심장 부작용(부정맥): 1세대 항히스타민제 중 트레스탄, 유시락스의 경우 용량의존적으로 독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3. 소화장애: 변비, 설사, 메스꺼움, 구토 등4. 항콜린효과: 입,코,목의 건조, 배뇨장애, 시력장애, 빈맥 5. 항세로토닌 효과: 식욕증가2)알러지에 도움되는 음식 대추(코 점막 모세혈관 염증을 가라앉히고 진정), 도라지(사포닌 성분이 노폐물을 제거하고 코 점막을 깨긋하게 해줌), 연근(염증을 완화시켜 코 내부 점막 조직의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효과), 돼지고기(중금속 배출과 해독 능력이 뛰어나고 비타민B1이 풍부해 알레르기 질환 개선) 등이 있다고 합니다.출처 : 매경헬스(http://www.mkhealt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