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김준연 전문가
국방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전기기사 필기와 실기 시험 중 어떤게 더 공부기간이 오래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전기기사응시에 대해 관심있으시네요~필기는 상대적으로 이론 중심이지만 과목이 많지만 객관식이라서 상대적으로 합결률이 높고 실기는 시퀀스 회로및 주관식 계산 서술형 문제들이 있어 합격률이 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필기는 공부기간은 비공자이시면 3-4개월 소요되고 실기는 6개월 정도 소요가 생각되오니 여유있게 기간을 잡으시고 공부하시는게 스트레스를 좀더 덜받으실것 같습니다. 비전공자이라도 전기기사를 취득하실수 있으나 전기기사 응시자격이 되셔야 합니다. 응시자격으로는 관력학과 4년제 대학 (전기 전자 관련 학과 졸업및 졸업 예정자)관력학과 전문대학 3년제는 실무 경력 1년관련학과 전문대학 2년제 실무경력 2년이 필요합니다.비전공자라도 관련직무 실무경력이 4년이상이면 응시자격이 되십니다.비응시자가 응시조건이 되는 가장 빠른 방법은 학점은행제를 활용하시면 가장 빠른것으로 생각됩니다.만약 응시자격이 되신다면 여유있게 기간을 가지시고 꾸준히 공부하시면 취득하실수 있습니다. 전기기사 강의를 보시면서 필기 및 실기 인강 네이버카페를 통해 내용을 알아보시다면 전기기사 취득에 도움이 되실것으로 생각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5년 2월 27일 작성 됨
Q.
리프트 모터 전기 용량으로 적재 하중을 계산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유도전동기 전기요량 출력 kw를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계산할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는 모터의 효율 감속기 유무 기계적 손실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순한 공식으로만으로는 정확한 적재하중을 구하기 어렵고 대략적으로 알수 있습니다.적재하중 무게구하는 공식은 m(적재하중)=p(모터출력)/g(중력가속도)*v(유도전동기 속도)입니다.예를 들어 지금 모터가 7.5kw이며 중력가속도는 9.8m/s^2 모터 속도가 1m/s라고했을때 유도전동기는 764.53kg 하중을 움직일수 있습니다.속도와 무게는 반비례하므로 속도가 높으면 높을 수록 가벼운 무게를 움직일수가 있게 되네요~정확한 적정하중을 위해서는 모터의 감속비 토크 풀리의 반지름 등 추가정보가 필요한것으로 보입니다.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전기 기능사는 기출문제만 풀어도 충분히 합격할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전기기능사 필기 시험에서 기출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공부하는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많은 합격자들이 기출 문제 반복 학습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하지만 기출문제만 풀어서는 합격하기 어려울수 있습니다. 공식 단어 등 노트정리를 하여 머리쏙에 정리를 한다음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로 옮겨 왜 틀렸는지 이해하느 과정이 필요합니다. 아는 실수를 줄이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 시킨다면 꼭 합격 하실수 있으실겁니다. 응원 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게습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퇴직 후(65세 이후) 전기 기사 산업기사가 있으면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전기기사 자격증 취득 고려하시고 계시네요 자격증은전기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 받을수 있는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여러분야에서 폭 넓게 업무를 하실수 있는 장점이 있죠 하지만 자격증만 있다고 해서 모든 전기업무를 하실수 있는것이 아닙니다. 자격증은 최소한의 자격이고 실무와 경력 실무가 있어야 전기 분야 업무를 수월하 하실수 있습니다. 지금 나이가 30대라고 하시니 미리 공부를 하셔서 취득 하시는것을 추천드리오나 취득만 하시고 퇴직후 전기자격증으로 전기업무를 하실려고 하시는 계획이시라면 그리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앞에서 말씀 드려다시피 전기업무는 경험과 경력이 가장 중여힌 압무 입니다. 저또한 전기분야에 있지만 생각지도 못한 일들을 마주치며 전기업이 없으면 경험할수 없는 일 들을 직면하고 있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여 실무경험을 쌓는것을 추천 드립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설비보전기능사 문제입니다 자격증 가지신분 대답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포트수는 벨브에 연결된 유체의 출입구 개수 입니다.위치수는 벨브가 가질수 있는 동작 상태개수를 말합니다.즉 포트수 (통로수) 유체가 흐를수 있는 입 출구 개수를 의미하는데요그림에서 주어진 문제 처럼 직사각형 내부에 연결된 포트 개수를 확인 할수 있습니다.3개의 포트(통로)가 확인대고 위치는 입구 출구 배기 포트가 확인 됩니다.따라서 포트수 3개이며 직사각형이 2개 존재하므로 2위치 벨브 로 보입니다.정답은 3포트 2위치 벨브가 인것으로 보여집니다.설비보전기능사 자격증 꼭 합격하시길 응원 합니다.해당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16
117
118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