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전문가입니다.
김준영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기가 짜증내거나 화날때 엄마미워라는 말을 해요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지금부터 남 탓을 하는 행동/ 누군가를 미워하다는 감정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놀이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들과 친해지는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좋아하는 놀이/ 장난감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아이와 친해지는 방법은 생각보다 쉽습니다.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함께 해 주는 것이죠.핸드폰은 지금부터 너무 자주 노출될 경우 성장에 좋지 않으니,하루에 사용 시간을 정해주시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놀이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5살아이 뜻대로 안되면 짜증먼저 내는데 어쩌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5세 연령의 경우, 어느정도의 훈육은 필요한 시기로 보입니다.아이가 떼를 쓴다고 하여, 부모가 그를 들어주었을 때 아이는 학습을 하게 됩니다.따라서, 단호한 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오히려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아이가 필요한 것을 제공해주는 긍정 인지 교육을 시행해 보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들 저녁 밥반찬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해 주는 것이 우선 가장 좋겠지요.저희 집 같은 경우,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려 노력은 합니다. ^^;연어볶음밥, 두부동그랑땡, 아이 잡채, 유부초밥, 어묵, 육전 등등..참고 바랍니다. ^^
양육·훈육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언제쯤 말을 하나요? 22개월 아기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22개월 아이의 경우 현재 기본적인 단어 표현은 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만,아이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아이가 단어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부모가 대화를 시도해 주세요.만약, 계속해서 아이가 위 증상을 보인다면 병원 내방하셔서 발달 검사를 권장드립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레몬을 너무 좋아해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영유아 아기들의 경우 성인보다 소화 기관이 발달이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지속적으로 신 맛에 노출될 경우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가급적 그 양을 줄여보도록 하시고 대체할 수 있는 음식을 강구해보세요.
양육·훈육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물건을 집어 던지는데 어떻게 훙육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우선, 아이가 그런 행동을 왜 하는 것인지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무언가를 던지면서 재미있었던 경험이 있었나요?또는 부모가 싸우면서 그런 적이 있었나요?아이는 부모의 거울입니다. 학습하는 것이죠.위 폭력적인 행동은 계속해서 제재해 주셔야 할 것으로 보이며환경 점검이 급선무일 것으로 보입니다.
놀이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누나 대신 3살짜리 아기를 봐주고 있는데 이것저것 다 입안으로 넣더라구요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3세의 연령이라면, 구강기는 지난 것으로 보입니다.계속해서 아이가 입 안에 넣는 등 집착 행동을 보인다면 보호자는 반드시 제재해 주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놀이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하늘나라(죽음)에 대해 계속 물어봅니다. 어떻게 답해야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인간의 죽음이란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그래서 아이 또한 계속해서 물어보는 것으로 사료 되구요.눈 높이에 맞춰 하늘 나라 가면 어떻게 되는 것인지 잘 설명해 주시고천천히 알아가게 하는 방법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2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아이의 짜증을 달래는 방법이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화를 낼 때, 보호자가 되려 더 크게 화를 낸다면장래에는 아이에게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아이는 어떤 이유로 보호자에게 화를 내는 것인지 먼저 그 이유를 파악하신 다음에그 원인을 해소하도록 해 보세요.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