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메디키넷하고 편도염약 같이 먹으면 안되능건가여??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메틸페니데이트의 경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서, 해당 증상 혹은 원인으로 약을 먹는 환자군에서 병용하지 말 것을 권유하고 있습니다.1) 중증의 불안, 긴장, 흥분 환자 (증상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2) 이 약 및 이 약의 다른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3) 녹내장 환자4) 뚜렛 증후군으로 진단받았거나 가족력이 있는 환자 및 운동성 틱장애 환자5) MAO 저해제 투여 중이거나, MAO 저해제 투여 중단 후 최소 14일 이내의 환자 (고혈압성 위기가 있을 수 있다.)6) 중중의 고혈압이나 협심증, 심부정맥, 심부전, 최근의 심근경색증,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갑상샘항진증을 앓고 있는 환자7) 크롬친화세포종환자8) 뇌혈관장애환자(뇌동맥류, 뇌혈관염, 뇌졸중 등 혈관이상 포함)9) H2 수용체 차단제나 제산제 치료시, 위의 pH가 5.5 이상의 무산증환자10) 이 약은 자당(Sucrose)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과당 불내성(fructose intolerance),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syndrome) 또는 백당분해효소결핍증(sucrase-isomaltase deficiency) 등의 유전질환을 가진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해열제, 소염진통제의 경우 문제가 안 될 것으로 보이며, 감기약을 먹는 과정에서 위 점막이 자극받을 수 있어 위 점막 보호제가 같이 들어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편도선염에 관련된 약의 경우 메틸 페니데이트와 같이 복용하여도 큰 이상은 없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가끔씩 어지러운데 어느 병원을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어지럼증의 경우 이석증,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심하게는 소뇌경색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신경과에 방문하시어 원인이 중추성(뇌, 척추)인지 말초성(귀, 전정신경)인지를 먼저 감별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병에관한 인터넷 정보는 현실과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교과서에 적혀있는 유병률 및 합병증 등에 대한 정보와, 인터넷에 적혀있는 정보와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아무래도 인터넷의 정보들은 조회수, 클릭수 등을 고려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인터넷 기사처럼 조금은 자극적으로 적히는 경우가 많습니다.해당 의사의 말이 모두 맞는건 아니겠지만, 인터넷에 나오는 정보 역시 걸러서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