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화학
화학 이미지
Q.  지방족 탄화수소에서 지방족이 기름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저도 학생때 이부분이 참 궁금했습니다. 대학생때 일반 화학, 생물학을 같은 시간에 배우다 보니 용어가 헷갈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실제로 질문을 해본적이 있었고 지방은 알고계신 기름에서 유래한 지방이 맞습니다. 사실 정확한 뜻은 방향족이 아닌 비방향족 물질이 지방족입니다.최초의 지방족 탄화수소를 발견했던 학자들이 동물성, 식물성 기름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유기물질들이 사슬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에 지방족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하지만 현대에는 벤젠 고리를 분석하고 난 이후에는 벤젠 고리를 가진 화합물을 방향족이라 정의 합니다. 지방족은 이러한 벤젠고리를 가지지 않은 탄화수소들을 칭하는 말로, 정확하게는 비방향족(지방족) 이라 부르는게 맞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금속이 전도성과 전성 및 연성을 갖게 되는 원리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알고 계신데로 자유전자 때문입니다. 금속의 특유의 형태 때문인데 금속의 전도성 자체가 자유전자의 이동이기 때문입니다. 금속내의 자유전자들을 특정 원자에 묶여 있는게 아니라 자유로이 이동하기 때문에 전도성을 가지게 됩니다.전성은 얇게 펼쳐지는 성질이고 연성을 얇게 편 이후에 길게 뽑는 성질입니다. 이온결합은 외력에 의해 부숴지지만 금속의 경우 외력이 들어와도 금속원자 부분이 깨어지지 않고 외력을 받을 부분을 자유전자들이 채워 줌으로써 깨어지지 않고 굽혀질 수 있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갈바닉 전지에서 염 다리는 어떤 역할을 하며 없을 경우에는 전지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갈바니 전시에서 염다리는 리튬이온 전지의 분리막과 유사하게 두개의 용액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이온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합니다. 산화가 일어나는 부분에서는 금속이 녹아 양전하가 증가하고 환원이 일어나는 부분에서는 전자를 얻어 용액의 양전하가 증가하는데 이를 염다리를 통해 균형을 맟춰주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갈바니 전지에서 기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기전력은 전자가 흘러가는 힘을 말하는데 전위차가 크면 기전력도 커집니다.기전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산화 환원을 담당하는 전극의 전위차이가 크면 클수록 기전력도 커집니다.또한 전해질 이온의 농도가 높을 수록 역시가 기전력도 커집니다.그리고 온도도 높아지면 기전력이 커지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아세트아미노펜 tlc uv램프 조명형광등 4watt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해당 제품을 구매해도 괜찮습니다. uv 파장만 나오면 되고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254 nm 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하기 때문에 저렴한 제품도 괜찮습니다.형광등 형태를 구매하시려면 충전식이 아니라 전원을 연결해야 합니다. 정확한 스팩을 알야아 하긴 하는데 기존 형광등을 꽂는 전등에 꽂아서 해도 될것 같습니다. 하지만 외부 전원을 끌어와서 연결을 해야 하기에 해보시지 않았다면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현 정부 에너지 정책 기능을 환경부로,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에너지 관련 정책의 담당이 산업부에서 환경부로 이관이 된다고 해도 국가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주무부서가 변경되었을 뿐 공동으로 진행한다고 생각하시는게 타당할것 같습니다.부서가 이관된다는 이야기의 초점은 기존의 정책은 유지하지만 에너지 문제의 중심을 기술보다는 환경부분에 더욱 무게를 실어서 처리를 해나가겠단 메세지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기존 산업부에서 담당했을 땐 아무래도 투자와 기술 개발 위주였다면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온실감스 감축, 탄소중립, 국제협력에 더욱 비중을 실겠다는 의미 입니다. 기존에 산업부에서 해왔던 투자나 개발 부분역시두 투트랙으로 함께 진행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펠렛으로 찍어낸 비료와 막퇴비의 차이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재질상은 차이가 없지만 단위 면적당 부피는 같으나 무게가 더 무겁다 보니 내부의 밀도가 훨씬 높습니다.그리고 펠릿 형태로 만들면 취급하고 뿌리기도 편하며 제조 과정에서 퇴비를 잘 섞다보니 막퇴비보다 균질합니다.그리고 고온에서 압축을 했기에 퇴비 특유의 냄새가 사라져서 관리하고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또한 펠릿 형태로 뿌리게 되면 열로 고착시킨 형태라 구조가 오래 유지되어 퇴비가 천천히 분해되는 효과도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화학1 심화주제 탐구 수행평가 동위 원소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분자의 진동수는 질량에 반비례 하는게 맞습니다. 전이상태 통과에너지라고 부르지 않고 이를 활성화 에너지라고 불러야 맞습니다.아시겠지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전이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있는데 이것이 활성화 에너지 입니다. 질량이 무거운 중수소 삼중수소는 경수소보다 질량도 높고 상대적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 활성화 에너지까지 도달해야 되기 때문에 더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반응속도가 느리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공예 작품을 만드는데 초보자의 접근 방법?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유리나 금속공예에 관심이 많으신것 같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게 있으시면 저한테 직접 물어보셔도 됩니다. 저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고 지인중에 금속공예 작가가 있어 공방에 가본적도 있고 공예작품을 해설한 경험도 많습니다.사실 학교에서 배우는 미술 중에 학교 바깥에서 배우기 가장 어려운 분야가 바로 공예입니다. 그 다음은 조각이라 불리는 조소 분야 입니다. 왜냐하면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인데 공예분야가 가장 많은 장비를 요구합니다.홍익대학교 공예학과는 이름이 금속조형디자인과로 금속과 장신구 위주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유리, 금속 둘다 셀프로 배울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 기존에 설명드렸다시피 장비가 필요하여 가정에서는 불가능하고 그나마 도자기 분야가 가정에선 불가하지만 금속이나 유리보다 배우고 만들기가 쉽습니다. 손으로 만드는 분야이다보니 지점토나 여러종류의 클래이로 작업을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금속이나 유리는 예쁘긴하나 처음부터 쉽게 다를 수 있는 재료가 아닙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유리로 만드는 공예품은 그냥 술병 같은 걸로 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관련 답변을 드렸었는데 유리공예에 관심이 많으신것 같습니다. 토치랑 소주병도 혹시 직접 다뤄보셨나요? 보통 대학생들은 학교의 장비를 많이 사용하는데 소주병을 토치로 달구면 쉽게 잘리실것 같나요? 병만 가열되고 유리를 녹이기 위해선 일반 토치가 아니라 산업용 토치로 2000도까지 가는 장비를 사용하셔야 하기에 가정에선 불가합니다.유리공예 원데이 클래스를 한번 해보시고 결정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솜씨당 / 프립 / 로클 / 움클래스라는 원데이클래스 어플이 많은데 여기에서 유리공예 클래스를 찾아서 수업을 들어보시고 결정을 하시는게 좋으십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