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세먼지 관련한 재난은 자연재난인가요? 사회재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재난을 유형별로 자연재난, 사회재난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자연재난은 인간의 개입없이 자연현상을 통해 만들어지는 태풍, 지진, 화산 활동, 소행성추락 등이 있습니다.사회재난은 인간의 개입을 통해 만들어지는 화재, 폭발, 교통 사고 등이 있습니다.미세먼지는 위의 두가지 재난의 구분에 둘다 포함이 됩니다.왜냐하면 현재 미세먼지의 주요 성분을 분석해보면 자연이 만들어낸 사막에서 대기의 이동으로 만들어지는 자연황사 먼지도 포함되어 있고 인간이 만들어낸 공장과 자동차에서 생성되는 황산화물, 질소 산화물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Q. 미술 작품은 작가를 기준으로 가치가 올라가는건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술작품의 가치와 가격은 사실 정비례 하지 않습니다.이러한 가치는 기준을 미술관으로 둘것이냐 아니면 미술경매로 둘것이냐로 나눌 수 있습니다.미술관과 같은 보관과 관리, 전시 등을 고려한 미술사에 한획을 그을 작품의 가치와 상품과 판매를 위한 미술경매 분야에서의 가치는 엄연히 구분되어야 합니다.일반적으로 미술관과 미술경매 분야의 가치는 정비례 하는 것도 있지만 반비례 하기도 합니다. 장소특정적 미술이나 개념미술 같은 경우는 미술사적 가치가 높지만 소장이 어려워 미술경매에서는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품가치가 없기 때문입니다.물론 명성 높은 작가의 작품이 수요도 많고 화폐가치가 높은 것은 사실 입니다. 그래서 신진작가가 갑자기 명성높은 작가의 과거 기록을 무시하고 더 높은 가격을 받게될 가능성은 아주 낮습니다.그래서 신진 작가는 자신의 가치를 높히기 위해 많은 전시를 하고 대회도 나가고 다른 기업이나 작가들과 협업을 하며 자신의 이름을 널리알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작가의 가치는 누가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지, 어느 학교 출신인지, 해외 어디에서 레지던시를 하였는지 등 다양하게 가치가 매겨지게 됩니다. 이러한 경력을 하나하나 획득하다보면 자신의 이름이 알려지게 되고 다양한 사람들이 소장하면서 그 작가의 작품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