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미술
미술 이미지
Q.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예술과 사회의 변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예술이 사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우리는 어떻게 예술을 통해 사회 변화를 이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예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안타깝지만 동시대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과거에 매체가 제한적이고 개인이 정보를 얻는 도구가 한방향이었을 때는 예술작품이 개개인에게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습니다.하지만 동시대 현재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단과 매체가 무제한 일 정도로 많습니다. 또한 개개인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기에 하나의 예술작품이 다수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현재 거의 불가능 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술을 통한 사회변화,,,이제는 과거의 사라진 문장이라 생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일본의 우키요에 목판화 작품에서 다른 색 보다 유독 붉은색과 푸른색이 자주 사용된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우끼요에는 일본의 색판화의 이름 입니다.대량생산을 위해 만들어진 우끼요에는 강렬한 색상의 사용, 과감한 표현으로 유럽으로 건너가 인상주의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것으로 유명합니다.우끼요에 작품에 특정 색상을 주로 사용하였다는 자료는 찾지를 못했습니다. 아무래도 자연을 주제로 하였고 강렬한 인상, 담대한 구도를 사용하였다보니 자연색인 파란색,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등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특정 색상만 자주 사용한다는 인상을 남긴것으로 생각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검은배경이랑 하얀배경에 눈에잘띄는 글씨색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보통 특정색깔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보색관계의 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로 반대되는 색을 보색이라고 하는데 보색관계에 있는 색을 사용하면 보색대비가 발생하여 서로 눈에 더 잘 띄고 뚜렷하게 보이게 됩니다.보색관계의 색상 확인은 색상환의 반대편에 위치한 색이 보색입니다. 실제로는 반대되는 빛을 합쳤을 때 무채색이 되는 색이 보색인데 이를 알아보기 쉽게 만든것을 색상환이라고 합니다.검정색의 보색은 흰색인데 검정색이 배경이라면 흰색을 사용하지 말고 색상환의 가장 짙은 색인 남색, 남보라색의 보색인 노랑색을 사용하시는 것이 눈에 잘 띄고 좋습니다.대표적으로 노란색을 사용하는 국민은행의 경우 검정색을 활용하여 노란색을 돋보이게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보색효과를 활용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재료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술들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부식은 공기중의 산소와 재료가 만나서 산화되는 과정을 말합니다.일반적으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선 도금과같이 기존 재료위에 코팅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반응성이 높은 재료를 합성하여 만들게 됩니다. 가장 대중적인 것이 스테인레스 금속 입니다. 철보다 반응성이 높은 아연과 같은 물질을 철에 도금하여 철이 녹슬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플라스틱 중에서 유독 PET만 따로 폐기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경제적인 이유 때문입니다.PET 는 아예 페트병이라고 따로 대명사로 부를 정도로 플라스틱의 주요 재료 입니다. 이는 다른 플라스틱 소재보다 재활용율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하지만 모든 PET 가 재활용이 되는 것이 아니고 그중에서도 무색 PET 의 경우는 거의 100% 에 가깝게 재활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은소재는 물에 오래담궈놔도 녹이 슬지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금과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녹이 슬지 않습니다.사실 금은 일반 대기중에선 절대 녹슬지 않고 특정 조건에선 녹이슬게 할 순 있지만 은수저 같은 경우는 대기중에서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에 구멍이 나게되고 녹이 슬게 됩니다. 녹이 슨다는 것은 대기중의 산소와 반응한다는 것인데 금과같은 귀금속의 경우 상온에서 산소와 반응하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인 상태라서 녹이슬지 않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지구 온난화를 끝낼수도 있는 물질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런 물질을 없습니다.현재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은 바로 이산화탄소 입니다.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것이 최우선 과제인데 과학기술의 발달로 에너지 사용량이 늘어가고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생성을 줄이는 것이 아주 힘든게 현실입니다.그래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없애는 방식으로 기술이 발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없애고 포집하는 새로운 물질이 개발되고 있다고 기사에 많이 나오긴 하지만 아직 대량생산되어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획기적으로 제거할 물질을 없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이제 미술쪽은 ai 때문에 힘들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상업미술쪽은 인공지능으로 인해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고 순수미술쪽은 더 발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주로 광고에 사용되던 상업미술 분야에서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기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소위 사람의 힘으로 모든것들이 제작되었습니다. 소위 품을 팔아서 작품을 만들어 내었습니다.하지만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이미지 뿐 아니라 영상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제작사 입장에서 사람에게 돈을 주지 않고도 다양한 각도의 광고영상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이로써 일러스트레이터라고 불리던 작가들의 일자리가 많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반면 순수미술 분야에서는 상업적 판매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동시대 현대미술 작가들이 인공지능을 최초의 카메라가 발견되었을 때 회화에 활용한것 처러 작품에 활용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카메라 발견이 후 추상회화가 만들어졌듯이 인공지능 발전 후 어떤 형태의 미술이 만들어질지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만화나 미술 등에서 죽은 사람 머리에 동그란 하얀 원을 표현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성화에 자주 나타나 있는 표현방식 입니다.예수의 뒷면에 소위 후광이 비친다고 하여 하얀원이 그려져 있곤 합니다.이러한 하얀원을 광배 라고 부르고 해외에서는 헤일로 라고 부릅니다.사실 모든 성화에 나오는 예수님의 머리위로 헤일로가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시기에 따라 작가에 따라 지역에 따라 그러한 헤일로가 그려진 작품도 있고 그려지지 않은 작품도 있으며 모양도 제각각 입니다.이는 예수뿐 아니라 천사나 성인들의 뒤에도 그려지는데 이는 회화가 많이 그려지지 않았고 회화가 종교에 의해서 제작되어지던 중세시기에는 금색으로 그려지곤 하였는데 해당 그림에 나오는 주인공이 성스럽고 영광스럽게 보이게 만들기 위해 후광이 그려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종이찢어서 붙이는걸 모자이크기법이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종이를 찢어서 붙이는걸 모자이크라고 하진 않습니다.캔버스에 물감외에 종이나 다른 재료들을 풀을 사용하여 붙여서 만드는 방법을 꼴라주 기법이라고 합니다. 꼴라주라는 단어 자체가 풀칠하다는 의미 입니다.모자이크는 종이보다 주로 벽화나 바닥을 꾸미는데 사용되는 방식입니다.커다란 그림을 제작하기 위해서 작은 조각들을 붙여서 큰 그림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가령 나무모양을 만들기 위해서 작은 갈색 돌들을 나무모양의 공간에 채워넣어 큰 작품을 만드는 방식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361371381391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