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수영할 때 사용하는 오리발의 과학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수영할 때 앞으로 나아가려면 물을 밀어내는 작용반작용의 힘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많은 양의 물을 밀어낼수록 속도가 빨라지는데, 오리발을 쓰면 만나는 면적이 많아지고 많은 물을 밀어내서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속도가 빨리지게 됩니다.
화학공학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비대용 물티슈?라고 불리는 물에 녹는 물티슈의 경우 성분이 어떻게 되어 있길래 변기에 넣어도 괜찮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식물에서 채취한 셀룰로오스 라는 성분으로 만들어서 물에 잘 녹고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된다고 합니다. 보통 물티슈는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만들어서 물에 녹지 않는다고 하네요
화학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먹을 것이 부족하여 영양실조에 걸리면, 제대로 잘 먹지 못하면 지방을 태워서 열량을 보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먼저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탄수화물입니다. 그 이후에 지방이나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데,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지방이 단백질보다 더 소모되는 비율이 많아진다고 하네요. 영양실조로 탄수화물이 다 사용되면 -> 단백질 & 지방이 소모되겠습니다 (영양실조로 인한 경우는 단백질 소모 비율이 많다고 하네요)
화학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미세 플라스틱이 많이 흡수되면 악영향이 있지 않을까? 라고 추정을 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유해성이 입증된 연구결과는 없는 것 같습니다. 만성염증을 유발하거나, 심혈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블랙홀 내부에서는 시간이 어떻게 흐를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 내부에서 어떻게 되는지 명확히 알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중력이 매우 강한 곳 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블랙홀 내부를 볼 수 있다면, 느리게 흐르는 것처럼 보인다는 뜻입니다. 내부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느려졌다고 느낄 수 없습니다)
토목공학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거짓말 탐지기는 어느정도 정확도가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100% 체크한다는 것은 불가능 할 거 같습니다. 예능등에서 사용하는 거짓말 탐지기는 사실 정확도가 높지 않을 것 같습니다. 수사기관에서 가이드라인을 지켜서 정확히 측정하는 경우는 정확도가 97% 에 이른다고 하니까, 꽤 정확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응결핵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수증기가 상승하면서 기온이 낮아지면, 응결되면서 물방울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그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서 구름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먼지등의 물질이 있으면 수증기가 달라붙기 쉬워서 구름이 더 잘 만들어진다고 하는데, 이런 역할을 하는것이 응결핵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태양의 고도가 낮을 때와 높을 때, 그림자의 길이는 어떻게 변화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고도가 높으면 그림자는 짧아지고,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그림자가 길어지는게 일반적입니다.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빛을 가리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그림자가 길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소행성은 어느정도 크기여야지 지구 표면에 영향을 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름 4m 급 소행성은 큰 문제가 안된다고 합니다. 10m 급이면 건물파괴, 30m 급이면 도시 파괴가능하다고 합니다.따라서 10m 이상이면 표면까지 도달해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네요.
화학
2023년 11월 7일 작성 됨
Q.
삶은 달걀을 날달걀로 되돌리는 방법은 실제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삶은 달걀을 날달걀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높은 온도에 의해 단백질 구조자체가 변했기 때문에 날달걀 상태로 돌린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