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산들 중에 사화산이라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문헌상 분화기록이 없거나 분화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 사화산이라고 한다고 하지만, 사실 휴화산과 큰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사화산으로 분류하고 분화한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멕시코의 '엘 치촌 화산' 같은 경우는 사화산으로 분류했으나 분화했다고 합니다.정확하게 사화산인지 평가하는 방법은 어렵다고 봐야될거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범고래는 진짜 바다의 깡패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범고래 자체가 공격성이 높은 편이고 무리지어 생활하며 지능도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이런 여러 면이 종합적으로 바다의 포식자로 군림하게 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신기하게도, 범고래가 인간을 공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합니다.인간에게는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생물들에게는 깡패라고 불러도 크게 틀리지 않은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 온난화와 모기에 대해서 질문좀 드려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통상 모기에게 가장 적정한 온도는 26~27도라고 합니다. 습하고 물웅덩이 등이 있는 환경이 번식에 유리하겠죠.여름철에 너무 더워서 모기가 없다는 말도 들어보셨을 겁니다. 적당히 온난화 된다면 모기가 1년내내 극성일 수도 있겠지만, 너무 더워지면 모기도 살기 어려워질수도 있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왜 색깔에 따라서 열을 흡수하거나 반사할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물질 고유의 특성이라고 생각하셔야 하지만, ,질문의 전제가 기본적으로 잘못되었습니다.검은색이 흡수한다 -> 이게 아니라, 모든 빛을 흡수하는 물질은 검은색으로 보인다 입니다.모든 빛을 반사하는 물질은 흰색으로 보입니다.빛은 여러가지 색깔을 나타내고, 그중에서 파란색만 반사한다 = 파란색 빼고 모든 빛을 흡수한다 (즉, 파랗게 보인다)모든 색을 흡수하지 않으면 모든색이 합쳐지고 (모든 색깔의 빛이 합쳐지면 하얀색이 됩니다) 하얗게 보입니다.모든 빛을 흡수하는지, 반사하는지는 그 물질 고유의 특성이라고 생각해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을 찍은 사진을 보면 그 주변의 빛이 타원처럼 보이는건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빛마저 흡수하기 때문에 당연히 빛이 탈출할 수 없어서 어두운 형태로 보입니다. 주변의 밝은 빛은 거대한 중력으로 인해 초고온 상태가 된 가스가 방출하는 빛입니다. 빛이 빠져나올 수 있는 거리안쪽은 까맣게 보이고 (사건의 지평선) , 그 범위를 넘어서는 부분이 관측 가능하다고 생각해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의 최후는 어떻게 되는지 나중에 소멸이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블랙홀은 최후의 순간에 대폭발하는 형태로 소멸하게 됩니다. 블랙홀은 주변의 많은 물질들을 흡수하면서 점점 팽창하게 되다가 주변에 더 이상의 물질이 없어지면 조금씩 증발하면서 크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마지막 순간에는 대폭발하면서 소멸한다고 합니다. 수십억년에서 수천억년 이상까지 수명이 다양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정지마찰력과 운동마찰력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각각 물질 표면 특성에 따라 정지마찰계수, 운동마찰계수가 있습니다. 운동마찰계수는 정지마찰계수보다 작습니다.계곡에서 가만히 서서 버틸수는 있지만(정지마찰계수가 크기때문에), 한번 미끄러지면 (운동마찰계수가 적용되어) 멈추기 어려운 것이 그런 현상입니다. 미끄러지는 상황은 운동마찰계수가 적용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달린다 = 라는 개념은 마찰력으로 땅을 밀어 내서 작용반작용의 힘을 받아서 앞으로 나아가는 형태인데, 정지마찰계수의 영향을 받는다고 봐야될거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몸의 세포에서 암세포로 변이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세포가 분열되고 증식되는 과장에서 여러 오류로 인해서 암세포는 하루에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암이 발생하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크게 2가지로 나누면, 반복되는 만성염증에 의해 세포가 받는 손상이 많아지면서 암세포 발생이 많아진다. 또는 돌연변이가 생긴 세포를 제거하는 우리몸의 면역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암세포로 변화한 세포를 자체적으로 찾아내어 파괴하는 NK 세포등의 역할이 잘 안되는 경우등)
물리
물리 이미지
Q.  힘의 분산은 면적에 영향을 받는지 아니면 무게에 영향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이 조금 애매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압력은 무게를 면적으로 나눈것입니다. 따라서 무게가 무거울수록, 면적이 좁을수록 더 많은 압력을 받게 됩니다. 발바닥의 면적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계란이 힘을 받는 면적이 중요합니다. 발로 계란 여러개를 동시에 밟을수록 더 안깨지고 버티게 됩니다.같은 몸무게라면, 발이 크면 클수록 계란 여러개를 밟을수 있어서 안 깨질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의 물고기 사진을 보니 정말 이상하게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는 특수한 환경때문에 우리가 보는 것과 다른 형태의 물고기들이 많습니다. 깊은 수압과 낮은 산소농도에 적응하기 위한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먹이가 매우 적기 때문에 한번 잡은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해 큰 입과 날까로운 이빨이 발달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