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썰물이 되면 빠진물은 어디로 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빠진 물은 달의 인력에 의해 볼록하게 잡아당겨져 있는 형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볼록하게 올라있던 바닷물이 다시 내려오게 되면 밀물이 되면서 육지쪽으로 더 오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안녕하세요 ᆢ생물 용어 대해 문의드립니다 ㆍ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박테리아는 말 그대로 세균입니다. 우리 몸안에서 감염등 여러가지 현상을 일으키고, 명확한 생명입니다.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고 다른 생명체에 기생해서 증식을 하게 되고,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정도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박테리아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 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 감염은 치료약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감기에 치료약이 따로 없다고 설명하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일정량의 물 안에 녹을 수 있는 가루의 양은 가루의 종류에 따라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연히 일정한 물안에서 녹을 수 있는 가루의 양은 정해져 있습니다. 액체의 온도에 따라서도 용질, 용매에 따라서도 녹을 수 있는 최대양이 다릅니다. 물은 수소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유극성분자' 의 경우 물에 잘 녹고, '무극성분자'의 경우는 기름에 잘 녹는 특징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하늘에 무지개가 만들어지는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프리즘을 통해 빛이 파장에 따라 굴절율이 달라서 여러가지 색깔로 나눠지게 됩니다. 소나기가 오고 나서 대기중의 물방울들이 프리즘과 비슷한 역할로 빛을 굴절 시켜서 다양한 색깔로 나눠지면서 무지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 중에 벨로키랍토르는 깃털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벨로키랍토르는 깃털이 있었던 공룡으로 추정한다고 합니다. 말씀하신 쥬라기 공원에 나왔던 것처럼 비늘만 있었다고 하는 의견도 있어서 명확히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깃털이 있었다는 의견이 더 우세한 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일회용품 제로 노력이 실제적으로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업들이 앞장서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되는 것은 맞지만 결국 비용적인 문제라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쉽지가 않네요.일회용품이 직접적으로 쓰레기가 되어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에코백이나 텀블러 자체가 쓰레기가 되어서 수십번 ~ 수백번 이상 사용해야지 환경보호 효과가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직접효과가 크지는 않더라도 환경보호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중요할 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고 타임머신을 탄다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 말씀을 하시는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타임머신은 당연히 과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과거로 가는것은 불가능하지만, 미래로 가는 방법은, 냉동된 상태로 있다가 매우 먼 미래에 깨어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도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는 왜 암컷만 피를 빠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배가 고파서 피를 빤다기 보다는 알을 낳기위해서 자신의 난자를 성숙시키기 위해 동물성 단백질이 필요하다고 합니다.따라서 당연히 알을 낳는 암컷에게만 '피'가 필요하게 됩니다. 모기는 습하고 물기있는 곳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아서 하수구멍을 타고 들어오기도 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햇빛을 눈으로 주시하면 눈이 부신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은 그 자체로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빛에너지가 눈에 자극을 주면서 눈부심이 느껴지게 됩니다. 그 자극이 남아있으면서 잔상도 남는 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에스컬레이트는 누가 처음에 만들었죠?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그전에도 비슷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등이 있었으나 1897년 Charles Seeberger(찰스 시버거) 에 의해 현재와 비슷한 형태의 에스컬레이터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기존에 엘리베이터등을 보고 착안해서 개조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최대 하중은 특별히 측정하기가 어려운데, 많은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는다면 에스컬레이터 고장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보통 승객 한명당 75 kg 기준으로 설계되었다고 하네요)
2212222232242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