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태양계의 모든 행성은 위성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질량이 작은 행성은 위성을 가지기 어려울거 같네요. 수성과 금성은 위성이 없다고 합니다. 나머지 행성은 다 위성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현재 개발한 우주선으로 달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달까지는 일반적으로 3~4일정도 걸렸다고 하는데.. 거리가 먼 편이아니라서 속도를 빨리 하려는 노력이 크지는 않은것 같습니다.무리해서 서두르면 좀 더 빨리 갈수는 있겠지만,,일반적으로 2~3일 정도 걸린다고 봐야될거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태양은 지구에서 얼마 만큼의 거리를 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1억5천만 km 정도 떨어져 있다고 합니다. 빛의 속도로는 8분20초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이번 태풍 산산은 왜 이렇게 강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풍의 위력은 워낙 변수가 많아서 예측하기 어렵지만,, 단순한 우연일수도 있고..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연관될 수도 있을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앞으로 과학이 엄청나게발전해도 시간여행은 안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내용들은 단순한 상상의 산물이기 때문에 아무리 과학이 발달해도 시간여행은 절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게 맞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현재 우주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가서 활동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가하고, 특별한 프로젝트가 있을때만 우주공간에 나갔다가 돌아오고 있기 때문에 사람수를 정확히 체크하기는 어렵지만, 많지 않고, 일시적으로 우주에 나가 있는 상태라고 생각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동해안에 수온 상승으로 울릉도가 지역이 변하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무엇이 어떻게 변화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수온이 올라가면 살 수 있는 생물이 바뀌면서 생태계 자체가 변화하고 파괴될 수 있겠습니다. 오징어가 사라졌다고 하는데, 이런 몇몇가지 변화로 시작해서 어떤 방식으로 변할지 사실상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우주의 팽창에 대해서 궁금한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가 팽창하는 바깥에 뭐가 있는지는 알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습니다. 그 너무의 세상은 인간의 능력으로는 알아낼 수 없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빅뱅 이전에는 무엇이 있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과학적 관점으로는 빅뱅이전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 없다! 가 일반적인 관측입니다. 과학은 증거가 있어야 할텐데, 빅뱅이전에 대해서는 관측방법이 전혀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28일 작성 됨
Q.
대기 순환의 근본적인 원인에는 무엇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자전에 의한 전향력이 대기순환에 물론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기의 큰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온도와 연관이 큽니다. 태양에너지에 의해 바다나 육지가 뜨거워지면서 대기가 순환하는 근본 에너지일 것 같네요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