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사업자 세금 신고 전문, 혜안세무회계 김태관 세무사입니다.
사업자 세금 신고 전문, 혜안세무회계 김태관 세무사입니다.
김태관 전문가
혜안세무회계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0년 5월 11일 작성 됨
Q.
업무무관비용 회계처리 및 세무신고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태관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소득세 신고시에는 사업과 관련하여 지출한 비용에 대해서 필요경비로 반영하게 됩니다.사업자카드를 사용했더라도 사업과 관련된 비용이 아니라면 이를 소득세 신고시에 반영하지 않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2020년 5월 11일 작성 됨
Q.
만약 이혼으로 인해서 재산분할로 받는 것에 증여세가 부과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태관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원칙적으로 이혼으로 인한 재산 분할은 부의 무상 이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즉, 적법한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 재산 분할은 증여세의 과세대상이 되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2020년 5월 8일 작성 됨
Q.
1억 3000 전세금을 부모님이 해주셨는데 증여세를 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태관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전세금이 반환을 하기로 한 대여라면 증여세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금전소비대차 약정서를 작성하시고 원금과 이자를 일정대로 상환하시면 되겠습니다.단, 금전 대여가 아닌 단순 증여라면 증여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감사합니다.
2020년 5월 8일 작성 됨
Q.
주택 자금 증여세를 회피하려고 변칙을 쓰는 경우에도 적발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태관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택 담보대출을 받아서 주택을 구입한 후에 해당 대출을 부모님이 대신 상환한다면 이는 증여에 해당합니다.근래에는 부동산 구입에 대해서는 자금 출처 조사 및 사후관리가 엄격히 이루어지므로 말씀하신 편법은 통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됩니다.증여를 받아 상환하시는 것은 가능하나 이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2020년 5월 8일 작성 됨
Q.
소매업 사업자가 제조원가명세서(?) 작성 제출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김태관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사업자의 업태 종목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지는데요.도소매업종이라면 제조원가명세서를 작성하지 않습니다.제조원가 명세서는 제조업의 경우 작성하도록 되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