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현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호 전문가입니다.

김현호 전문가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코로나 확진 후 처방받은 약 종류가 많은데 이 약들 다같이 먹어도 되나요?
처방받으신 약들은 동시에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증상이 경미한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증상 (발열, 기침, 인후통 등)에 대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증상 개선을 위한 약을 복용하시게 되며,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시고 증상이 생겨 약 복용이 필요하실 경우 각 지자체에서 전달 받으신 비대면 진료 센터에 연락 하시고 비대면 진료를 신청하시어 처방 받으시기 바랍니다. 무사히 회복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Q.  이제 초1인데 백신 맞아야 할까요?
최근 국내 식약처에서 화이자의 5-11세용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품목허가를 승인하였습니다. 5-11세 소아도 3월 31일부터 접종이 시작됩니다. 중증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면역저하자, 당뇨, 비만, 만성 호흡기질환 등)에서 접종을 적극 권고하며, 그 외 일반 소아청소년의 경우 접종기회를 제공하며 자율적으로 접종을 시행합니다.성인과 달리 이전에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는 접종을 권장하지 않으며 1차 접종과 2차 접종 사이에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에도 2차 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5-11세용 화이자 백신 (코미나티주)는 12세 이상 용량의 약 3분의 1정도 (10마이크로그램)로 2회 접종합니다. 기존 제품과 바이알의 라벤, 뚜껑 색을 달리하여 투약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유통됩니다. 또한 국내외 연구결과와 WHO 권고를 고려하여 백신 안전성과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5세 이상 접종자의 mRNA (화이자, 모더나) 백신의 1-2차 접종간격을 기존의 3-4주에서 8주로 조정하였습니다. 중증의 면역 저하 어린이는 2차 접종 4주 후에 3차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5-11세 어린이 3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결과 접종 후 이상사례는 주사부위 통증, 발적, 피로, 근육통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경증에서 중간정도 수준이었으며 사망, 심근염 등 중대한 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백신 접종에 따른 예방효과는 90.7%로 확인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코로나 확진 이후 온 몸에 두드러기가 일어남
두드러기나 가려움증을 일으킬만한 다른 원인 (화장품 변화, 음식, 풀과 같은 식물에 노출 등)이 없고 확진 판정 후 수일 내에 생긴 증상이라면 코로나19에 따른 알러지 반응에 의한 피부반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복용이 가능하시다면 항히스타민제를 드시고 그럼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비대면 진료를 신청하시어 처방 받으시기 바랍니다. 가급적 긁지 마시고 수건을 댄 얼음팩으로 찜질을 하시는 것도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코로나 확진자 피부과 약 및 코로나 처방약 병용 가능 여부
이전에 복용하셨던 피부관련 약과 최근 처방받으신 약을 함께 드실 수 있습니다.증상이 경미한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증상 (발열, 기침, 인후통 등)에 대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증상 개선을 위한 약을 복용하시게 되며 다행히 지금 불편하신 증상이 없다면 따로 약을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시고 증상이 생겨 추가로 약 복용이 필요하실 경우 비대면 진료를 신청하시어 처방 받으시기 바랍니다. 무사히 회복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로나19 재감염은 감염자의 면역기능이 약해서 그런건가요?
증상 유무에 관계 없이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 PCR 검사 결과 양성판정을 받았거나, 최초 확진일 이후 45~89일 사이 PCR 검사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 노출력 (또는 해외여행력)이 있는 경우 재감염 사례로 분류합니다. 확진일로부터 45일 이전에는 검사결과 양성이 나와도 기존 감염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국내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올해 3월 16일까지 이와 같은 기준에 따른 재감염 사례는 290건이었습니다. 재감염은 바이러스 우세종이 바뀌는 시점에 증가하는 데 델타변이 발생 전인 작년 6월까지 재감염 사례는 2건 (0.7%)이었으나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된 작년 7~12월의 재감염 사례는 159건으로 증가하였으며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된 올해 1월부터 지난 3월 16일가지는 129건의 재감염이 발생했습니다.최근 재감염 사례는 과거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사람이 오미크론 변이에 다시 감염되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따라서 오미크론에 감염된 경우 다시 오미크론에 재감염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향후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했을 경우 재감염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마지막 변이가 아니고 다른 변이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한 번 감염되었다고 하더라도 방역지침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969798991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