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의 나이는 얼마인가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혜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나이는 르메트르의 빅뱅과 허블의 우주팽창으로 유추해 낼 수 있습니다. 우주가 한 원시원자에서 출발해서 오늘까지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면, 이 시간을 영화 필름 돌리듯 거꾸로 돌리면 우주 탄생의 시점에 도달할 수 있지않을까 하는 이론입니다곧, 우주의 팽창속도를 측정하고, 이 값으로부터 거꾸로 우주의 크기가 0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우주의 나이를 추론할 수 있게 되는 거지요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 상수가 말해줍니다. 허블 상수는 지구로부터 100만 파섹(326만 광년) 거리당 후퇴속도를 나타냅니다. 이 허블 상수를 이용해 우주가 지금의 크기로 팽창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데, 허블 상수의 역수를 취하면 바로 그게 허블 시간(Hubble time)이라고 부르는 우주의 나이입니다. 정밀한 관측으로 허블 상수가 조정되면서 137억 년이란 우주 나이를 얻게 되었습니다. 지구의 나이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진화론에 의하면 지구의 나이는 45억년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서 45억 년의 근거는 방사성동위원소 측정법에 의한 우라늄이 납으로 변해가는 반감기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나라에서도 오로라를 관찰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혜나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의 흑점의 활성화와 관계가 있으며, 그 때문에 11년을 주기로 많아졌다 적어졌다를 반복한다. 흑점의 폭발이 아주 크게 일어나면(= 태양의 활동이 활발하면) 그만큼 강한 플레어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지구에 붙잡히는 대전입자도 매우 많아져,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지역이 극지방 뿐만 아니라 중위도 남쪽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북유럽에서는 아이슬란드, 핀란드 로바니에미, 노르웨이 트롬쇠, 러시아 무르만스크 등이 오로라 투어가 활성화돼 있다. 그 유명한 노릴스크는 외지인이 들어가지도 못하는데다 대기오염이 너무 심각해 오로라가 발생해도 볼 수가 없다. 특히 아이슬란드에서는 온천욕을 하면서 오로라를 볼 수 있는 블루 라군 온천이 유명하다. 의외로 북극과 남극 안쪽, 즉 극점 근처에서는 보기가 힘든데, 이유는 주로 나타나는 곳이 지자기 위도상으로 65~70도 정도의 범위이기 때문이다. 즉 남극점에서 너무 가까워도, 멀어도 볼 수 없다는 뜻. 때문에 남극에서도 장보고 과학기지가 있는 곳에서는 오로라를 자주 볼 수 있지만 세종기지가 있는 킹 조지 섬 같은 곳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북반구는 여름에는 백야 현상 때문에 떠도 못 보는 경우가 부지기수라서, 밤이 매우 길거나 심하게는 하루종일 어두운 겨울이 상대적으로 관찰하기가 쉽다. 겨울이 어두운 시간이 길어서 보기 쉽지만 밤이 존재하긴 하는 봄이나 가을에도 관측은 가능하지만 걸릴 확률은 낮아지는 편이다.드물게 북위 50도 일대에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확률이 낮기 때문에 현지에 사는 사람이 아니라 단기 방문한 사람이 이런 나라에서 오로라 관측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거란 기대는 하지 않는 게 낫다.한국에서 평생 오로라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으니, 한국 같은 중위도 지역에 오로라가 나타날 일도 있을 것이다. 1770년에 전세계적으로 오로라가 관측이 되었는데 9일 동안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의 기록이 없었는데, 해당 날짜의 승정원일기에 거의 매일같이 비가와서 측우기로 측정했다는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당시 궂은 날씨 때문에 천문 현상을 관찰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