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홍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홍조 전문가입니다.
김홍조 전문가
문정수약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영양제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13살 강아지, 산책을 안나가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추위를 유독 많이 타는 경우일 수 있고, 추위 때문에 입힌 옷이 너무 조여서 불편감을 느껴 산책을 나가기 싫어하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강아지가 원하지 않는 경우 억지로 데리고 나가는 것이 더 스트레스일 수 있으니, 집에서 간단한 놀이 등을 통해 적당히 활동할 수 있도록 놀아주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야생 멧돼지 새끼가 저희 부모님 집에 살고있는데, 반려동물로 키워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천연 기념물 등으로 보호종으로 지정된 동물이 아니라면 키워도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다만 멧돼지는 성격이 사나워서 자랄수록 감당이 어려워질 수 있으니 심사숙고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목욕하는 걸 너무 싫어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기본적으로 강아지는 속털까지 젖는 환경이 흔하지 않기 때문에 목욕으로 인해 온몸이 젖는 과정이 유쾌하지 않은 경험일 것입니다.되도록이면 발만 살짝 담글 수 있는 얕은 환경에서 간단한 놀이를 하며 물과 친숙해지는 과정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목욕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강아지도 사람처럼 기분 변화가 심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최근에 환경에 변화가 생겼거나, 건강이 안좋아진 경우 평소보다 무기력한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사 등으로 인해 생활환경에 큰 변화가 생겼다면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보듬어주며, 간식을 챙겨주는 등의 행위가 도움이 될 수있습니다.또한 통증을 호소하지는 않는지, 불편해하는 듯한 행동이 나타나지는 않는지 주의깊게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저희 강아지가 자꾸 소화가 안 되는 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평소 먹던 사료에 변화가 생겼거나 사람이 먹는 음식을 먹은 경우혹은 장염 등이 발생했을 때 그러한 증상이 평소보다 심해질 수 있습니다증상이 지속된다면 진료 후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약 복용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눈이 자꾸 뿌옇게 보이고..핸폰을 2분정도도 못볼 정도로 눈이 너무 아픈데..루테인 복용하면 좋아질까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루테인은 노안이나 안구보호를 위한 보조제입니다.가장 먼저 안과 진료를 보신 후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지 확인 후에 루테인이나 지아잔틴과 같은 눈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강아지는 중성화를 해야 더 건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중성화를 해주면 성호르몬 관련 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성호르몬에 장기노출되면 수컷의 경우 고환이나 전립선 쪽에 종양의 발생확률이 증가하며,암컷의 경우에는 유선종양 등이 확률이 증가합니다.또한 발정기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단점으로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며 관절질환의 확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약 복용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덱시부펜과 화콜씨 노즈 같이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화콜씨에 함유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제는 덱시부펜에 함유된 덱시부프로펜과 성분계열이 달라서 함께 복용이 가능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강아지도 나이가 들면 장난감을 안 가지고 놀까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강아지가 연령이 들어감에 따라 활동량이 줄어들고, 시력과 청력이 저하되면 평소 좋아하던 외부 자극에 대해 무뎌질 수 있습니다.장난감도 마찬가지로 결국 흥미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미국의 금리 인하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밥을 잘 안챙겨먹어서 혼난 경험이 있거나, 사료에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섞어서 준 적이 있는 경우 밥그릇에 가까이 오는 것을 꺼려할 수 있습니다.
906
907
908
909
9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