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수료 대납(상계)로 매출액과 입금액 상이합니다. 분개처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어떠한 상황이신지는 모르겠지만, 법인 기준으로 우리가 이익을 봤다면 잡이익, 손실을 봤다면 잡손실로 처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보이고, 회계 감사인이 있다면 그 쪽에 문의해보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보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익을 봤다면 이익으로 계상해야하고, 손실을 봤다면 손실로 처리하는 방향성이 제일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Q. 3.3% 일용직 신고 후 지역보험료 상승(해촉증명서)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지금 말씀하신 것을 보니, 3.3% 프리랜서 사업소득으로 처리된 것으로 보이고, 이 경우 4대보험이 별도로 지역가입자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올해도 그렇게 처리가 된다면 4대보험이 따로 나올 수 있을 수 있어보이고, 만약에 된다면, 3.3%가 아닌 근로자로 4대보험을 회사 쪽 근로자로 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Q. 안녕하세요? 열거된 자격증들 중 난이도순, 활용순으로 알려주실 분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난이도 자체는 공인회계사, 세무사TAT 1급(한국공인회계사회)이 순으로 될 것 같고 나머지는 비슷비슷 합니다. 취업 할 때는 자격증도 자격증인데, 직무랑 연결성이 있어야 됩니다. 무조건 자격증을 딴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TAT1급, 세무회계 1급 이 제일 난이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준비하는 시간도 상당합니다. 따라서 어느 직무로 갈 것인지를 보고, 정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