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놀이치료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놀이치료 전문가 입니다
박수경 전문가
수심리상담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20개월 아기 자꾸 물건을 집어던지네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직은 훈육이 통하지 않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위험에 노출되는 행동은 눈을 보고 단호하게 안된다는 것을 반복되고 일관된 표현으로 해주신다면 점점 호전된 모습을 보일겁니다.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주시되 안되는 것은 단호하게 해주시면 아이도 점점 개선된 모습을 보일겁니다.
놀이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의 미적 감각을 키워줄 수 있는 활동들은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몇 개월인지는 모르겠으나 30개월 전 아이라면 오감 활동을 통해 미적감각 또한 키워줄 수 있습니다.작품을 만든다기 보다 만지고 문지르고 그려보고 눈으로 보며 여러 감각들이 생겨나고 깨어나지요. 오감 활동으로는 많은 재료들이 있습니다. 색을 표현하는 도구들과 음식 재료들도 있지요 다양한 재료의 활용으로 아이의 미적감각을 깨우시길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30개월아기가 분유를 계속 먹으려고해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30개월은 분유에서 우유로 전환하셔야 하는 때 입니다.멸균우유의 향을 좋아하는 아이도 있고 바로 생우유에 적응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따뜻하게 데워서 적은양 부터 시작해 보시면 아이도 금방 적응을 할 겁니다.부모님이 결단하시고 행동하시면 생각보다 아이의 적응 능력은 빠르고 정확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재접근기'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보통 16개월에서 18개월 늦게는 24개월까지를 재접근기라고 합니다만 9개월 아이에게는 애착형성의 시기로 보여집니다.아이가 신호를 보낼 때 빠르게 대처해 주시는 것이 중요하며 계속 엄마를 찾을 때 안심이 되도록 안아주시거나 따뜻한 음성을 들려주실수록 아이는 안정이 됩니다. 부모로써는 힘든 시기일 수 있으나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와의 애착형성에 힘쓰시면 아이는 빠르게 성장합니다.
놀이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5살 아들과 집에서 할 수 있는 동적인 활동들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들은 대부분 신체놀이를 좋아하지요스킨쉽과 함께 놀이하시면 정서적으로 매우 좋습니다.잡기놀이숨바꼭질이불로 김밥말이 놀이(이불안에 넣고 조심히 몸만 살살 말아 주세요)-많이 좋아합니다.가위바위보 경찰과 도둑 놀이 등이 있습니다.아이와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라요
양육·훈육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아기가 열날때 옷을 벗기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열이 많이 오른 상태에서는 기저귀만 채워 놓으셔도 괜찮습니다.그러나 열이 오르기까지는 손 발이 차가워집니다 그 때에는 손과 발을 따뜻하게 해주셔야 아기가 덜 힘들거예요.-손 발이 차가워 진다면 열이 오르려고 한다는 점(해열제 투약)-열이 다 오르고 나면 열을 떨어뜨려야하니 옷을 잠시 벗겨놓아도 된다는 점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계속 놀아달라는데 너무 지쳐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전문가의 의견으로는 부담감을 내려놓고 아이의 눈높이에 맞춘 쉽고 간단한 놀이를 하실 것을 권합니다. "놀아 준다"가 아닌 "같이 논다"라는 마음으로요 하지만 연년생을 남매를 키우는 것은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유아기 시기에 놀이 만큼 두뇌활성화에 좋다는 말도 없지요. 시간과 체력이 되실 때 신체놀이를 추천합니다. 모두가 좋아할 겁니다. 아이와 스킨쉽을 많이 하며 정서적인 교감을 강화할 수 있지요. 이불로 김밥말기 놀이. 숨바꼭질. 잡기 놀이. 그리고 가위바위보 놀이가 있는데 유아기 아이들은 반대로 말하는 것을 매우 좋아합니다. 꽥꽥 의성어도 좋아하고요. 잠깐의 이 시기가 지나면 육체적인 육아에서 조금은 벗어나실 수 있을거예요.
유아교육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약간 난독증이 있는거 같은아이 지도법은?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머님이 보실 때 난독증세가 미미하게라도 보인다면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그 후 전문적인 난독치료를 조기에 하신다면 앞으로의 학업 뿐 아니라 여러방면으로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이 성향에 따라 언어 접근방법이 다르나 조기 치료를 통해 책읽기능력 등 개선되는 효과를 보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어 아이 발달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요.
놀이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7살인데 친구들이 이름이 아닌 별명을 불러요 그대로 둬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별명에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외모나 이름에 관한 듣기 좋지 않은 별명 등...약점을 잡아 부르는 경우가 있지요.별명이 어떤 것 인지 확인해 보시고 판단하셔도 좋으나 우선 아이의 기분이 좋지 않다면 상대방 아이에게 "싫어 그렇게 부르지 마"라고 말 하도록 가르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도 이 기회를 통해 상대가 불편해 하는 것은 하지 않도록 권면해 주셔도 좋을 것 같고요.아이의 거절에도 상대방이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선생님께 말씀드려 조치를 취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양육·훈육
2023년 5월 10일 작성 됨
Q.
아기를 훈육하기 시작해도 되는 시기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4개월 전으로는 훈육이 잘 통하지 않습니다. 반복적으로 이야기를 해주는 정도이지요. 그러하기에 어느 정도 말귀를 알아듣고 생각할 수 있는 시기인 24개월 이후로 훈육을 권하고 있답니다. 그러나 아이의 기질과 성격에 따라 다르니 24개월이 조금 안 됐다고 해도 말귀도 잘 알아듣고 주양육자가 보실 때 훈육이 필요하다고 느끼실 때 그 때가 적기일 것 같습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