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5년 5월 5일 작성 됨
Q.
최근 엔화 약세가 일어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 미국의 관세 전쟁으로 달러 가치가 급락하면서 준기축통화인 엔화 가치가 급등했습니다. 별다른 이슈 없이 다시 엔화 가치가 하락하는 것은 현재 기준 급등에 따른 단기 조정으로 보입니다. 추세는 좀 더 지켜봐야할 듯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5월 5일 작성 됨
Q.
무상증자를 한다는게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무상증자는 대표적인 호재입니다. 자본금 확충에는 유상증자와 같으나 증자 재원이 기존 주주나 제3자의 투자가 아닌 해당사 순이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본화 하는 것이라 기존 주주들은 지분율만큼 증자하여 발행된 주식을 받게 됩니다.반면 유상증자는 기존 투자자들이 총증자 대상 금액에 대해 본인 지분율만큼 참여하지 않으면 주식 가치가 희석되게 됩니다.
예금·적금
2025년 5월 5일 작성 됨
Q.
금리가 내리면 금값엔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금이 가지는 성질을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고 미국이 관세 전쟁을 하면서 달러가치가 떨어지고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의 가치는 더욱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금리를 내리게 되면 물가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시중에 유동성이 더 많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인플레이션을 헷징할 수 있는 금은 수요가 더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5월 5일 작성 됨
Q.
기업에서 발행할 주식수와 발행을 완료한 주식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상장사의 발행 주식 수와 유통 주식 수가 다릅니다. 발행 주식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발행 주식 수는 유통 가능 수량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물론 정상적인 대주주라면 급격한 유통 주식 수 증가는 주식 가치를 떨어뜨리고 일반 투자자들의 반발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아무런 대책 없이 발행 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유통할 수는 없고 금융 당국의 엄격한 심사와 감독 하에 진행됩니다.상장사의 분기, 반기 및 연간 보고서 내 '주식의 총수'란에 발행주시수와 유통주식수를 확인하실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유통 주식 수가 발행 주식 수 보다 작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5월 5일 작성 됨
Q.
워렌버핏이 은퇴한다는데 왜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워런 버핏은 1930년 생입니다. 95세의 초고령이라 연배만 해도 은퇴할만한 때가 되었고 충분히 투자를 통해서 돈을 벌었다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5월 5일 작성 됨
Q.
자기주식신탁계약 이라는게 뭘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자사주 취득을 위해서 특정 증권사와 위탁 매매 계약을 하는 것인데 증자처럼 주식 수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유통주식 수를 줄이게 됩니다. 규모와 취득 기간에 따라 다르겠으나 호재라 할 수 있습니다.
자산관리
2025년 5월 4일 작성 됨
Q.
나라마다 비축해두는 비상금같은게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경우 기축통화 보유국이 아니라서 미달러를 외환보유고(약4,100억 달러)로 비축을 하고 있고 금(한국은행 약104톤 보유) 또한 국가 재정 측면에서는 비상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간 예산 책정 시 예비비가 있는데 이 부분은 매년 예산 집행에 따른 비상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5월 4일 작성 됨
Q.
비트코인가격이 앞으로 100만불을 넘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수년 전만 해도 원화로 비트코인 개당 가격이 1억원을 상회할 것이라고 예상한 이는 많지 않았습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향후 여러 번 반감기를 거쳐서 시장 공급량이 줄어들 것이고 비트코인 자체의 치명적인 결함이나 블록체인 보안을 깨뜨릴만한 기술이 나타나지 않는 한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금과 같이 안전자산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럴 경우 비트코인 가격은 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으나 개당 100만불이 불가능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경제동향
2025년 5월 4일 작성 됨
Q.
현재 환율이 오늘 시점으로 1402원이더라구요. 게다가 금값이 점점 하락추세인데 이러한 현상은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의 관세 전쟁으로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 측면이 원화 강세의 이유이며 원화 뿐 아니라 준기축통화인 엔화의 강세는 더욱 가파릅니다. 금의 경우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라 금값 등락은 여러 시그널을 의미하는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때문에 금 값이 상승했다면 하락은 안정화 추세라 긍정적으로 봐도 될 듯합니다. 각국 통화와 금의 경우 가격 결정 요인이 매우 다양한데 원화의 경우 한국 경제 체력과 달러화 가치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금은 앞서 말씀 드린 대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의 현황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경제정책
2025년 5월 4일 작성 됨
Q.
소상공인 경제지원 정책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포털에서 아래와 같이 검색하면 여러 지원 정책이 나옵니다. 아래 링크는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나열한 것인데 업종과 규모 등에 따라 다른데 미래에 창업하실 업종과 규모 등을 고려 하시어 미리 여러 제도를 보시고 섭렵해 두시면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jVK&qvt=0&query=%EA%B0%9C%EC%9D%B8%EC%82%AC%EC%97%85%EC%9E%90%EC%A0%95%EC%B1%85%EC%9E%90%EA%B8%88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