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전선에 앉은 새는 감전이 안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전신주의 전선은 고무와같은 절연체로 감싸져있습니다. 가전제품 플러그에 연결된 선을 우리가 만져도 감전이되지 않는것과 같은 상태라고 생각하시면될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입술의 색깔이 붉은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입술은 얇은 표피를 가지고 있고, 표피 가까이에 혈관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혈색이 그대로 피부를 통과해 겉으로 비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물리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열 손가락을 깨물었을 때 가장 아픈 손가락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손가락은 우리몸에서 한의학적으로 많은 혈자리가 지나가는 곳인데요, 같은 압력으로 깨문다고 생각했을때 단순히 깨무는 힘에 대한 통증은 똑같은것 같습니다만 손가락 별로 다른 혈자리가 지나가기 때문에 그 혈자리중 질문자님께서 안좋은 부분이 있다면 더 아프지 않을까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물리
2024년 3월 11일 작성 됨
Q.
손으로 감싼 계란을 힘으로 못깨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물리학적인 관점으로 볼때 우선 압력은 표면적에 반비례합니다. 손바닥전체로 계란을 감싸쥐고 힘을 주면 표면적이 커지기때문에 계란에 작용하는 압력은 작아지게 됩니다.그리고 계란은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계란껍질의 아치형 구조는 압력을 분산시키므로 더욱 압력이 작게 작용하게 되는 것이죠.위와 같은 이유로 계란을 손으로 쥐어서 깨뜨리는것은 어렵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6일 작성 됨
Q.
뻐꾸기가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이유는 과학적으로 어떤 원리에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뻐꾸기는 둥지를 잘 만들수 없기 때문에 알을 낳아 부화시킬 장소를 스스로 만들 능력이 없습니다.그리고 더 큰 이유는 뻐꾸기는 다리가 굉장히 짧아 설령 둥지에 알을 낳더라도 품어서 부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6일 작성 됨
Q.
1천문단위는 거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1AU는 지구와 태양간의 거리인데요, 대략 1억 5천만 Km정도 됩니다.150,000,000km는 미터로 바꾸면 150,000,000,000m 가 됩니다.감사합니다.
화학
2024년 3월 5일 작성 됨
Q.
물의 구성 성분에 따라 물의 종류로 센물과 단물이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센물과 단물은 각각 경수와 연수를 일컫는 말로 이해됩니다.경도가 높은물을 경수 반대로 낮은물을 연수라고 합니다 경수에 금속성분 등 불순물을 제거하면 연수가되며 이온 교환 수지나 염화나트륨 등을 써서 불순물을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5일 작성 됨
Q.
오존층이 우리에게 주는 이로운점이 어떤게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태양으로부터 강력한 자외선을 받고잇습니다.자외선에 많이 노출되면 피부가 단순히 타는것을 넘어 피부암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지는등 많은 위험과 직면하게됩니다.오존층은 이 자외선을 아주 효과적으로 차단해 지구 표면으로 오는 자외선의 양을 대폭 감소시킵니다.
생물·생명
2024년 3월 5일 작성 됨
Q.
곤충 중의 수명이 가장 짧은 곤충은 무엇이 있나요. 그 곤충의 평균 수명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수명이 가장 짧은 곤충은 진딧물이라고 합니다. 짧게는 4~6일정도인 종도 있으묘 평균적으로는 20~30일 정도 산다고 합니다.곤충의 수명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먹이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3월 5일 작성 됨
Q.
골디락스존이라는 용어가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과학전문가입니다.골디락스 존 혹이란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혹은 생명 가능 지대라고도 하며 생명체들이 살아가기에 적합한 환경을 지니는 우주 공간의 범위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