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경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훈 전문가입니다.
박경훈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물고기가 갖고 있는 비늘의 용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의 비늘은 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작은소리를 듣는 역할, 외부의 세균을 막는 역할 등을 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소는 왜 메탄 가스 방출량이 많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되새김질을 하는 소, 양, 염소 같은 반추동물은 위가 4~5개 입니다 장에서만 메탄가스가 만들어지는 다른 동물과는 달리 반추동물은 위에서도 미생물들이 먹이 속의 당 성분을 휘발성지방산으로 바꾸면서 장에서 만드는거보다 20배 더 메탄가스를 만듭니다
화학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고급휘발유와 일반휘발유의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급휘발유는 일반휘발유보다 옥탄가가 높습니다 고급유는 옥탄가가 94 이상인 휘발유, 일반휘발유는 옥탄가가 91~93 정도입니다 옥탄가는 엔진의 노킹 확률을 나타낸 값으로 휘발유가 엔진에서 연소할 때 적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폭발하지 못하고 너무 빠르게 폭발하게 되면 연비도 낮아지고 소음도 심해지며 엔진에 불순물이 남기도 쉽습니다 고급휘발유는 폭발성을 강하게 해서 노킹 현상을 줄이게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피곤하고 졸릴때 하품이 나오는데 과학적으로 어떠한 근거가 있는건지요?
사람의 몸은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채워 넣으라고 강제적으로 움직입니다 그것이 바로 하품으로 하기 싫어도 자동적으로 일어나며 하품을 하게 되면 몸속으로 공기가 들어와서 필요한 산소가 공급되어 집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생물학적으로 바닷속에서 가장 빠른속도로 수영하는 생물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에서 가장 빠른 생물은 돛새치로 속도가 110km라고 합니다 몸은 방추형으로 등쪽으로 암청색과 배부분은 회백색이며 등지느러미에 큰 지느러미가 마치 배의 돛모양으로 솟아 있어 물속에서 짧은 순간 빠른 속도를 낼수 있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헬륨가스를 마시면 본인의 목소리가 이상해지던데..
사람마다 목소리가 다른 이유가 성대의 진동이 서로 다르기 때문인데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 헬륨을 통과하는 소리의 속도가 공기를 통과할 때보다 2.7배나 빠르며 성대의 진동수도 2.7배 늘어나면서 평소와 다른 목소리를 냅니다
화학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핫팩은 어떤 재료로 인해 어떻게 발열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핫팩에는 철가루, 숯, 염화나트륨, 톱밥, 질석, 물이 들어있고 핫팩을 흔들면 산소와 철이 만나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화학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저는 추위를 많이 탑니다. 추우면 온몸에 핏줄기가 빨갛게 도드라져 올라올 정도로...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추위를 느끼면 떨리는게 근육운동을 통해 신체 온도를 올리기 위한 생리적 반응으로 떨면서 열을 발생시키는 겁니다따뜻한 물을 마시면 몸의 온도는 금방 올라갑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현미경을 통해 최초로 보게 된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현미경은 1590년경 네덜란드의 미들부르크에서 안경을 만드는 일을 하던 얀센 부자에 의해 만들어졌고 주로 해양 탐사에 이용되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요즘 양식으로 키우는 민물생선(향어) 기생충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민물고기는 바다고기에 비해 기생충 감염의 위험이 커서 회로 잘 먹지 않습니다양식 민물고기는 기생충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향어는 피주표면이 끈작한 물질에는 살충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나 다른경로로 감염이 가능하므로 기생충이 없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