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주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전문가입니다.
박주영 전문가
서산 엘림재가노인복지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자격증
양육·훈육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아빠가 옆에만가도 싫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아빠 옆에 잘 가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아빠와의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빠가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늘려주시고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을 함께 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참고하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50일 조금 지난 아이 분유텀을 어떻게 조절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수면시 수유량이 늘어난 경우 수유텀을 조금길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수유량은 시기별로 조금씩 늘여주시는것이 아이 소화기능 등에 어려움이 없습니다. 참고하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잠을 자다 깨서 우는데 왜 이런 거죠?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자다가 깨는 대부분의 이유는 성장통이 가장 큽니다. 성장통의 경우 수면 전 스트레칭이나 마사지 등으로 야간 통증을줄여줄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현재 임신 몇 주차인걸지 한번 봐주실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너무 걱정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태아는 산모의 건강이가장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많이 느낄 때태아의 건강에 이상이 생길수 있습니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시는 것이좋습니다. 참고하세요.
유아교육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언어치료를 일주일에 2회 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현재 언어가 느리거나 발음 등의 이유로 치료를 받고있는 경우 그 결과가 바로 나오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꾸준히받아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교육기관을 수시로 바꾸는 경우 아이가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아기가 자꾸 숨참는 행동을 하는데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성장하면서 일시적으로 하는 행동에 심각하게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들이 성장과정에 있는 행동으로같은 행동이 반복되지 않는다면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반복되는 경우가까운 병의원방문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2월 11일 작성 됨
Q.
14개월 아기입니다 자꾸 머리를 치는 행동을 하는데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자신의 머리를 치는 행동은 불안감의 표현일 수 있습니다.아이가 불안한 감정을 느낄수 있는 상황을 조절해주시는 것이필요하며 아이가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경우 그때마다 제지해주시는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유아교육
2024년 2월 9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너무 휴대폰만 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휴대전화를 너무 자주 하는 경우 행동습관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족회의 등을 통해 사용시간을 정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이때 부모도 동참하면서 아이에게 선행하는 모습이 중요합니다.참고하세요.
유아교육
2024년 2월 9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린이 집에 가는걸 싫어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아이가 엄마와 조금 더 시간을 보내고 싶어서 같은 표현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헤어질 때는 단호히 헤어져 주시는 것이 오히려 아이를 불안하지 않게 하는 모습입니다. 만났을 때는 기쁘게 반갑게 맞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함께 시간을 보낼 때 왜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야 하는지, 엄마는 그동안 무엇을 할 것이며 얼마만큼 시간이 지나면 다시 만날 것인지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2월 9일 작성 됨
Q.
자존감 낮아진 아이 어떻게 해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타고난 성향을 존중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성적이고 배려심 많은 아이를 외향적으로 바꾸려하기보다는그래로 존중하고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부모님에게 존중받을 때 비로소 자존감도 생긴다고 합니다. 아이가 한 작은 칭찬받을 일들을 적극적으로 칭찬해주시는 것도 아이의자존감을 높일수 있는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251
252
253
254
2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