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박주찬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고양이 모낭염이 잘 안낫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문학연의 경우 많은 요인이 있겠지만 나이가 그렇게 많지? 않은 점을 고려했을 때는 음식의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많은 피부병의 경우 음식 관리만 철저하게 하게 된다면 생각보다 개선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식 관리라고 한다면 피부 처방식 가수분의 사료로만 관리를 하는 것을 말하며 간식이나 사람이 먹는 음식을 일절 급여해서는 안됩니다. 꾸준한 음식 관리와 내복 약을 통해서도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그 외 내분비계적인 문제 환경이 문제 또는 유전적인 문제까지도 고려를 해야? 하니 그때는 피부 전문 병원이나 대학병원 수준에 가셔서 검진을 받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도 탈모가 오나요? 털갈이도 다 했는데 털이 무지 많이 빠지네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탈모의 요인도 여러 가지 있습니다. 강아지의 나이가 몇 살인지? 모르겠지만 내분비계 질환인 당뇨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부심 피의 기능 항진증과 같은 내과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에 내과 관리가 되지 않는다면 털이 만날 수도 있고 피부도 굉장히 안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보통 노화 때문에도 털이 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전반적 도로병원에서 검진을 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요즘 저희 강아지가 피로감을 너무 느끼는 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강아지의 연령이나 성별 또는 특이사항에 대한 정보가 너무 없어서 물론 말씀밖에 드리지 못하겠네요. 과거와 다르게 산책을 1시간 정도만 했음에도 불구하고 호흡이 가쁘거나 또는 피로를 많이 느끼는 경우에는 한번 건강검진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강아지가 5살 6살 이상부터는 생각보다 심장병이 흔합니다. 병원 가서 단순 청진이나 엑스레이 촬영까지는 해보시는 것에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 알러지는 사료 문제일 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피부가 이렇게 좋지 않은데도 간식을 가려주는 행위 자체가 사실 피부병 개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피부가 좋지 않은 애들은 간식을 절대 주시면 안 됩니다. 물론 사료도 영향이 갈 수 있지만 간식부터 급여 중단해 주세요. 알러지 증상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 가셔서 내복역 처방이나 아토피 주사 맞추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많은 알러지나 아토피 피부병의 경우에는 음식 관리를 철저하게 하는 것만으로 대부분 예후가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 코 밑 까짐 왜이렇죠? 병원 데려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가능하면 병원에 가셔서 서동역 내복약 연고도 같이 처방 받으시는 게 가장 좋기는 하지만 보호자분께서 병원에 가실 수 있는 상황이 당장 되지 않는다면 핵시딘이나 포비돈 계열 소독약이 있으면 소독한 후에 연고 처치부터 해주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무피로신이나 에스로반 같은 항생제 계열 연고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연고 도포를 했음에도 개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병원에 가셔서 검진해보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 소형견 중형견 대형견은 어떻게 구분을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딱히 큰 기준은 없지만 소형견 중형견 대형견을 나누는 기준은 반려동물의 키로그램수로 일반적으로 분류하긴 합니다. 소형견의 경우는 10키로 미만 중형견의 경우는 20키로 미만 대형견의 기준은 대부분 20키로 이상인 경우 대형견으로 분류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자꾸 전선을 씹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전선을 보호하도록 감아놓는 제품이 있습니다. 그거 사셔서 설치 해놓으시는 것이 좋을듯 하네요 또는 지속적으로 물어뜯고 그런다면 스트레스 받더라도 오리입 착용 시킨 후 외출 나가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동물병원에서 쓰는 마약성 진통제를 맞으면 어떤 부작용이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마약성 진통제의 경우 너무 강하게 쓰면 신경 증상이나 무호흡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반드시 수의사의 소견이나 처방을 받은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고양이에게 먹이면 안되는 먹이는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에게 먹이지 말아요. 음식은 초콜릿과 파 양파 마늘 고추 부추 자일리톨 포도는 절대로 먹이 치면 안됩니다. 또한 먹지 말아야 할 음식 외에도 백합과 같은 꽃은 고양이에게 굉장히 좋지 않니 선물을 받아도.안타깝지만 치워버리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고양이가 애교부리다가 갑자기 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의 크기를 감안했을 때는 사람의 얼굴보다는 사람의 손을 더 좋아합니다. 그러다 보니 노는 장난감인 줄 알고 친근하게 굴다가 확 물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176
177
178
179
1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