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물체가 무회전하면 흔들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성 과학전문가입니다.공이 회전을 하게 되면 표면 근처에 일정한 공기의 흐름이 생깁니다.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우리가 보았을 때(관찰할 때)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운동을 하죠.이 궤적을 보고 미리 예측하여, 골키퍼나 포수는 해당 물체를 잡을수 있습니다.만약, 공이 회전을 하지 않는다면, 표면 근처에 일정하지 않는 공기의 흐름이 생깁니다.그래서 관찰할 때, 순간순간 변하는 공기의 흐름 때문에 궤적이 일정하지 않는 운동을 합니다.결국은 골키퍼나 포수는 궤적을 예측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Q. 물리학의 영역은 노력이 아니고 천재적인 영역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성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분야는 아니지만, 공학(응용과학)분야의 종사자로서 말씀드리겠습니다.과학분야는 언제나 호기심과 끈기가 있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물론, 기초 과학분야는 어느정도의 천재성도 있어야 함은 맞다고 봅니다.다만, 우연한 영감이나 꿈, 모종의 사건 등이 원천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물리학은 워낙 오랫동안 연구 · 개발된 학문 입니다.수학도 그렇겠지요.이러한 답변이 질문자님의 속시원한 해결은 될 수 없겠지만,물리학을 응용하여 사용하는 토목공학 종사자로서, 천재성보다는 아직 노력과 끈기, 호기심이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