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경제 특히 유통분야 전문가입니다
경제 특히 유통분야 전문가입니다
박창변 전문가
이마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대출
2023년 3월 3일 작성 됨
Q.
불경기일 때, 고물가로 지출일 줄이는 방법 좀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다들 요즘 고물가로 지출을 많이 줄이고 있죠!저같은 경우 외식과 나들이를 줄이고 있습니다.예전보다 거의 절반으로 줄였네요!이건만한게 없는것 같네요!그리고 저같은 경우 앱테크를 몇개 하고 있습니다.그중에 아하도 포함되어 있구요!한달 20만원 전후 수익이 생기네요!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예금·적금
2023년 3월 3일 작성 됨
Q.
한국은행의 금리동결이후 미국과의 금리차가 벌어지는데 환율은??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마 지금의 금리차가 마지노선이라 보는게 맞을듯 하네요!지나친 금리인상은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부작용이 있습니다.미국도 이제 빅스텝까지는 어려울듯 하네요.지금의 한은 포지션은 미국과 보조를 맞추어가는 듯 하네요!환율은 1300원 전후에서 박스권이 예상되네요!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경제동향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미연준의 빅스텝이 인플레이션을 잡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글쓴이도 얘기 했듯이 금리만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잡기는 힘든 상황입니다.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원칙이 기반되는데 지금의 상황은 글로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이유도 상당히 작용하고 있습니다.미연준의 다른 의도가 있다는 일부 전문가들의 이견도 있네요!
경제정책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소득 주도 성장의 핵심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그대로 소득이 높아지면 이로인해 소비가 증가하고 생산이 증가하고 경제활성화 되고 다시 소득이 증가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하지만 여기서 하나 놓친것이 물가상승 입니다.소득 즉 임금이 높아지면 당연히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력이 비싸져서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물가가 상승하여 구매력이 생각보다 증가하지 않게 되죠!이론과 실제과 다른걸 관과한 결과죠!소소하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대출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왜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를 올리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가 상승하는 주된 이유중 하나가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있어 물건을 사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금리를 올리면 당연히 시중 자금이 은행권으로 쏠리게 되고 이러면 당연히 구매력이 낮아지고 이로인해 물가가 안정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죠!
대출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신용도 관리를 할 때는 현금이 좋나요? 카드가 좋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카드 이름이 신용카드 에서 뭐가 느껴지지 않나요?신용을 바탕으로 카드를 쓰는 것이므로 적당한 카드사용은 신용도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대신 연체 하시면 신용도는 내려갑니다!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경제동향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향후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하면 당분간 인플레이션 지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네요!글쓴이도 말했는듯 소비자 물가지수 등이 증가하는 속도가 둔화된 것이지 내리지는 않았다는 것은 아직 인플레이션 추세가 꺽이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추세가 꺽여야 인플레이션이 멈출듯 하네요!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2050년 나이지리아가 세계 최대 경제강국이되나?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구가 많다고 경제규모가 커지는 것은 아니라고 봅시다!그런기준 이라면 파키스탄 같은 나라도 경제대국이 되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요!아프리카 특성상 문맹률이 높아 일부 경제전문가들이 세계 5위까지 보는데 대분은 15워권으로 예상하는게 대부분입니다.주목할 점은 코로나19로 인해 나이지리아 노동자의 20%가까이 일자리를 잃었다는 점입니다!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파이어족이 되려면 얼마의 자산이 잇어야 할까여?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문에서 보면 노후 생활비가 부부기준 월300만원 이라고 많이들 이야기 합니다!정확히 40살에 파이어족 되어 80까지 산다고 하면...12개월 × 40년 = 480개월480 × 300 = 약 15억주거지 별도. 기타 질병 비용 별도얼추 20억은 있어야 겠네요!소소하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금리와 부동산 가격의 상관관계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요와 공급의 원칙이 우선입니다.현재의 부동산 하락세는 미국이 금리인상해서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상해서 부동산이 하락하는게 아닙니다.지금 아파트가 과도하게 분양/건설되고 있어 공급이 커지니 당연히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라는 악재가 더해져서 부동산이 하락하고 있습니다!부동산 수요자는 대부분 어느정도 대출을 끼고 구입하는데 금리가 높으면 매수심리에 영향을 주죠. 즉 수요가 줄어드는격이죠!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