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문가입니다. 건물 시설팀장재직중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문가입니다. 건물 시설팀장재직중
박호철 전문가
SG글로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기계? 장비들의 전선의 굵기가 다른이유는?
전류 용량에 따라 전선의 굵기가 다릅니다. 예를들어 형광등에 들어 가는 전선(220V)과 모터에 들어 가는 전선(380V)의 굵기 차이가 납니다. 전류가 최대한 흘렀을때 버틸수 있는 전선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일반 형광등 같은 전구와 LED제품의 전력소비 관련 질문드립니다
보통 밝기에 따라 소비전력이 다르기 때문에밝을수록 소비전력이 높습니다형광등에 비해 led등의 경우 밝기효율이 높기 떄문에동일경우는 보통 LED가 전력 덜 소모 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led전등기구는 영구적이라고 하든데 고장이 나나요?
LED 전등기구도 수명이 있습니다. LED 전등안에 컨버터 안정기 (전압 낮춰줌) 있기때문에 수명이 다하면 교체 해야 합니다. 보통 통째로 LED 전등 세트로 교체를 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전기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 필요한 공부 순서는 어떻게 될까요?
전기기능사는 전기자격증의 가장 기본적이 자격증입니다. 전공자 이시면 필기는 혼자 공부 해도 되지만 실기 같은 경우는 전기설비 작업이 있기때문에 학원을 다녀서 직접 작업을 해보시고 시험에 응시 하는게 합격의 지름길 입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전기 관련된 자격증에는 어떤 단계가 있나요?
전기기능사 응시 조건 없음전기산업기사 관련학과 2년제이상 전기기사 관련학과 4년제이상전기기술사 기사 자격증 취득후 동일직무분야에 경력 4년 필요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전기와 기계 자격증 중 선호도는 무엇?
전기기사 에너지관리기사 두개 보유중 입니다. 전기가 더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고 더 사용 가치가 많습니다. 기계관련 자격증 중에서도 공조냉동기계기사도 좋지만 전기기사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기/기계 자격증 공부 해본 바로는 전기기사 >> 기계자격증 전기기사 1.5배 더 어려운 느낌입니다. 기출문제 20~30년 정도 봐야 합격권입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전기 기능사 자격증은 관련 학위를 하지 않아도 취득이 가능한가요?
전기 기능사는 전기관련 자격증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자격증입니다. 응시제한은 없습니다.필기는 혼자서 공부 할 수 있으나, 실기 같은 경우는 전기설비 작업이 필요 하기 때문에 학원 다니길 추천 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 분야 자격증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전기관련 자격증 중에는 기술사(발송배전기술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가장 알아줍니다. 전기기사(4년제 졸업)> 전기산업기사(2년제 졸업)>전기기능사(응시제한없음) 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110 볼트와 220 볼트의 차이는 어떤것이있나요?
우리나라 220V사용하는 이유는 발전기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탑 거쳐서 가정으로 옵니다. 전압이 높을수록 더 손실없이 전기를 받을수 있기때문에 220V 사용하고 있는 습니다. 미국이나 일본같은 경우는 110V사용 합니다. 110V 장점은 전압이 낮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것 뿐 없습니다. 그리고 전자기기나 전압이 220V사용 되어 있으면 220V 연결 해야 합니다. 110V되어 있다면 변환 플러그 연결해서 사용 하시기 바랍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6월 11일 작성 됨
Q.
사무실에 있는 전등이 자꾸 깜빡거리는데요
전등에 들어있는 안정기(교류>>직류) 문제 일수도 있고 전압 분배가 제대로 안되어 있어서 그럴 수 있습니다. 건물 내 시설관리 직원한테 요청해서 점검 확인 해보시면 됩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