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험을 들면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이 왜 필요한지, 들면 왜 좋은지는너무 일차원적인 이야기지만 미래에 어떻게 아프고 다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지금 당장은 본인이 너무 건강해서병원을 가본적이 기억속에 없을 정도면보통 보험을 왜 가입해야 하지라고 생각하기 마련입니다.다만, 이렇게 평생 죽을때까지 건강하면 가장 좋겠지만(아프더라도 자잘한 질병)당장은 건강해도 미래에는 어떻게 아프고 다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이미 다치고 아픈상태에서 병원을 갔다와서 진료/수술/입원/치료/약물 투약 등을 하게 되면보험을 가입할때 "고지의무" 라는걸 해당되는지 체크를 해보셔야 하는데여기에 해당되면 보험을 가입할때 가입이 거절되거나 or 패널티를 가지고 가입해야 할 수 있습니다.쉽게 말해 보험사는 자선단체가 아니기에, 보험사 입장에서도 건강한 사람이 가입하는걸 좋아하지병력사항이 있는 사람들은 꺼려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그래서 보험은 오히려 건강할때 미리 가입하는게 좋습니다.그리고 1살이라도 젊을때 가입해야 보험료가 저렴하구요.다만, 미래의 어떻게 아프고 다치지 모른다는 생각에보험을 너무 많이 가입하고, 부담이 될 정도로 보험료를 비싸게 가입을하면그건 높은 확률로 본인이 금전적으로 손해를 보기 때문에보험을 가입할때는 "부담스럽지 않는 월 보험료 + 적당한 수준" 에 맞춰서 준비하시면 됩니다.보험은 만능이 아니며, 만능에 가깝게 준비하려는 사람들이 종종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Q. 사회초년생은 어떤 보험을 드나요?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나이, 성별 불문하고사람이 살아가면서 혜택을 볼 수 있는 보험인실손의료비(실비) + 종합보험(어린이보험, 성인보험) 을 가장 많이 가입합니다.그 외에 운전을 하면 운전자보험 추천드리고부양 해야하는 가족이 있다면 사망보험금을 보장하는 정기보험 정도까지 추천드리구요.(사회초년생이면 보통 불필요)우선 보험료는 재정적인 부분, 처해진 상황, 가치관 등이전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월 보험료가 얼마나 설정되어야 한다는건 없습니다.그저 "부담스럽지 않는 월 보험료" 수준에 맞춰서 준비하시면 됩니다.본인 월급의 몇 % 는 보험료를 내는게 적합다는 말들과 글들이 있는데전혀 적합하지 않는 기준입니다.예를들어 설명을 하자면본인 월급에 10%를 보험료로 쓰는게 적당한 기준에서A가정 1명 = 300만원 월급 → 10%인 30만원 보험료B가정 4명 = 300만원 월급 → 10%인 30만원 보험료 X 4 = 120만원 보험료C가정 1명 = 2,000만원 월급 → 10%인 200만원 보험료A가정 1명이 월 보험료 30만원을 납부하는데평균적으로 1명당 7~10만원(많으면 15만원)이 가장 많고, 이 정도만 해도 적당합니다.B가정 4명이 월 보험료 120만원을 납부하는데월급의 절반 가까이를 보험료 납부하는데 쓰입니다.누가봐도 말이 안됩니다.C가정 1명이 소득이 높아 보험료를 200만원을 납부하는데과연 1명이 보험료를 200만원까지 낼 필요가 있을까요?보험료를 산정하는건본인 월급의 몇 퍼센트의 기준이 아닌본인이 "부담스럽지 않는 월 보험료" 가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Q. 3대 진단비는 얼마나 가입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현재는 가입금액이 평균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암진단비 5,000만유사암진단비 최대뇌혈관진단비 2,000만허혈성진단비 2,000만다만 이렇게 설정을 해서 보험료가 부담이 된다면, 가입금액을 줄이셔야 하고이렇게 설정을 해서 보험료 부담이 없거나, 또는 가족력 때문에 걱정이 된다면 더 높이시면 됩니다.실제로 가족력 부분떄문에 암진단비를 1억까지 설정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평균이 저렇다는 것이고, 반드시 평균처럼 가입금액을 맞춰야하는건 아닙니다.본인의 재정적인 부분, 가족력 등을 고려해서 맞추시는게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