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손 전환하라고 메시지가 왔는데.. 전환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실비는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실비까지 있으며질문자님이 가지고 있는 실비는 1세대현재 판매되고 있는 실비는 4세대 입니다.(가입시기 - 몇 년도 몇 월에 가입을 했는지에 따라 세대가 달라집니다.)실비는 세대를 거듭할수록 보상금액과 약관이 조금씩 안좋게 변하는 대신보험료가 저렴해지는 장점은 있습니다.즉.. 실비 보험료 부담이 괜찮다면 지금 보유하고 있는 실비를 유지하시는게 좋고실비 보험료가 너무 부담이 심하시면 실비 전환을 고려 해보시면 됩니다.다만, 1세대 실비와 4세대 실비의 차이점을 알고 판단하셔야 합니다.[1세대 실비(손해보험기준) VS 4세대 실비]ㄱ. 갱신주기 / 재가입1세대 : 5년갱신 / 재가입 X4세대 : 1년갱신 / 5년 재가입(* 재가입이란 가입 이후 재가입 시점에 판매되고 있는 실비로 전환 되는것으로 해지가 되는게 아닙니다)ㄴ. 보상금액1세대 : 급여 100%, 비급여 100%4세대 : 급여 80%, 비급여 70%ㄷ. 할증1세대 : X4세대 : 4세대 부터 할증 존재4세대(비급여만 해당, 2024년 7월부터 적용예정)ㄱ. 보험금을 받지 않은 경우 할인ㄴ. 0만원 ~ 100만원 미만으로 받은 경우 동결ㄷ. 100만원 이상 ~ 150만원 미만으로 받은 경우 100% 할증ㄹ. 15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으로 받은 경우 200% 할증ㅁ. 300만원 이상일 경우 300% 할증
Q. 15년납 80세 만기로 질병실비와 입원비.수술비정도 들어가있는상품을 15년정도 전에 들었은데요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15년납 80세만기→ 15년 보험료를 납부하면 그 이후부터 보험료 납부없이 80세까지 보장만 받으면 됩니다.다만, 실비는 애초에 "갱신형" 상품밖에 없기 때문에15년 동안 보험료를 납부를 다 하셨어도, 갱신형 담보에 한해서는 보험료를 계속 납부해야 합니다.실비만 해지해서 다른 보험사로 가입할 수 없는 건가요?→ 가능은 합니다. 그런데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닙니다.실비는 현재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실비까지 나왔고현재 판매 중인 실비는 4세대 실비 입니다.실비는 세대를 거듭할수록 보상금액과 약관이 조금씩 안좋게 변하고대신 보험료가 저렴해지는 장점은 있습니다.즉, 실비 보험료 부담이 괜찮으면 예전 실비를 보유하는게 좋고실비 보험료가 너무 부담이 된다 하더라도 "실비 전환" 을 하시면 됩니다.해지 후 다른 보험사로 4세대 실비 가입을 하려고 한다면→ 모든 상해/질병에 대해 5년이내 고지의무를 보고"실비 전환"을 통해 4세대 실비를 변경 하려고 한다면→ 고지의무가 축소 됩니다.물론 고지의무에 해당되는 병력사항이 없거나있더라도 심사결과에 안좋은 영향이 끼칠만한 수준이 아니라면깔끔하게 해지하고 새롭게 다시 가입하셔도 됩니다.다만, 실비는 예전 실비가 좀 더 좋다는건 인지는 하셔야 하구요.
Q. 부담보 질병과 관련하여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부담보의 경우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기간 부담보" 와 "전기간 부담보"기간 부담보는 해당 부위에 대해 1년 or 2년 or 3년 or 4년 or 5년 동안 보장을 받지 못하지만부담보 기간 도중에 해당 부위에 대해 진료, 치료, 진단을 받더라도 상관없이부담보 기간이 끝나면 자동으로 부담보 해체가 됩니다.전기간 부담보는 해당 부위에 대해 "5년" 고정으로 보장을 받을 수 없으며부담보 기간 도중에 해당 부위에 대해 "재진단(단순 건강검진 제외) 또는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에5년 뒤 서류를 준비해 부담보 해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단순 병변을 체크하기 위해 실시한 검사는 해당되지 않으나,단순 검사를 통해 병변의 변화가 생겼고,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부담보 해체가 불가능합니다.)즉.. 기간 부담보는 부담보 기간동안 치료를 받든, 수술을 하든 전혀 상관없이일정 시간만 지나면 자동으로 부담보가 해체되어 그 부위도 보상받을 수 있지만전기간 부담보는 부담보 기간동안 재진단이나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부담보 해체가 불가능하며, 부담보 해체가 가능한 조건을 만들더라도 따로 부담보 해체 신청을 따로 해야 됩니다.그래서 본인이 기간 부담보인지, 전기간 부담보인지 파악을 하시는게 좋고기간 부담보라면 몇 년인지 확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