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재훈 전문가입니다. 잘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설재훈 전문가입니다. 잘부탁드립니다.
설재훈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사해는 일반 바닷물보다 얼마나더 염도가 높은가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가보고 싶네요 높은 염도 때문에 생물이 살지 못하고, 사람이 물에 둥둥 뜬는곳 상류에서 흘러들어온 물은 출구 없이 갇힌 채 끝없이 증발해 소금기만이 남아 그래서 사해의 염도는 보통 바닷물보다 10배나 높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비행기의 창문은 왜 둥근가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높이 날때 생기는 압력분산을 위한 설계 높은 고도에도 비행기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외부와 객실 막아주는 동체 간 엄청난 압력이 생기게되어 네모난 창으로 만들몃 한곳에 압력이 집중되 균열이 발생 할수 있어요
전기·전자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겨울철 정전기가 자주일어나서 좀 번거로운데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실내 습도를 50%~60% 유지 , 비부나 머리 건조하지 않게 보습제 사용,정전기가 발생덜한 나무로된 빗 사용, 톡톡 사물 건드리는 방법 약간 느낌 오거든요 너무 건조하면요 미리확인 ㅎ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낙타는 물없이 얼마나 버틸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사막에서 생존 하는 낙타는 물없이 버틸수 있는이유는 등, 혹에 있습니다. 이 혹은 지방으로 되어 있는데 이 지방을 분해시켜 수분을 섭취합니다. 그래서 사막을 지나는 사람들은 낙타의 다리를 보는 것이 아니라 혹을 보고 얼마나 갈 수 있는지를 가늠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진주는 어떤 방법으로 생성이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조개는 입수관을 통해 물을 빨아드려 물속 유기물을 걸러먹고 남은 물은 다시 배출 이중에 분출하지 못한 딱딱한것이 조개 깝데기 안쪽에 붙거나 몸속 돌아다녀서 그러다 조개만드는 물질이 그단단한 무언가 둘러싸 조금씩 꺼져서 생성되요
전기·전자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필름 사진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필름카메라 사진 촬영 시 감광성 필름 롤을 카메라 안에 넣고 카메라 셔터가 열리면 필름이 빛에 노출되고 촬영할 부분을 포착합니다. 노출이 완료된 후 필름을 앞으로 감아서 다음 사진 촬영에 노출되지 않은 필름의 새로운 부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일부 수동 카메라에서는 필름을 뒤로 감고 동일한 필름으로 여러 번 촬영하여 이중 노출을 만들 수 있고 촬영을 마치면 카메라에서 필름을 꺼내어 현상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1일 작성 됨
Q.
털이 많은건 진화가 덜되었다는 증거인가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많고 적음 있지 않을까 싶네요 다만 포유류 진화 과정 중에 물 속에서 생활하게 돼 몸의 털이 불필요해졌기 때문에 오랜 시간에 거쳐 퇴화한것이며 인간의 털도 원래는 온 몸을 덮고 있었지만 옷이라는 것을 만들어 입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퇴화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춘거라 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28일 작성 됨
Q.
신규 아파트로 이사온지 며칠되었는데..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담배냄새 안올라와요 아파트 환기시스템은 강제환기시스템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구조로 이때 에너지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열교환소자를 이용해 실내와 실외의 온도를 교환,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해요 열효율은 좋아요
생물·생명
2023년 2월 28일 작성 됨
Q.
상어가 물속에서 냄새를 맡을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가능하죠 냄새 맡는게 콧구멍 속으로 물이 들어오면 콧속의 감각세포가 냄새를 감지, 뇌로 전전해요 단지 사람과 같은 육상 생물들은 코가 호흡기관과 후각기관의 역할을 겸비하는 반면 물고기는 아가미로 호흡하기 때문에 코는 후각기관의 역할만 수행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어요
전기·전자
2023년 2월 28일 작성 됨
Q.
전선의 색깔은 왜 여러가지 인가요?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공사시 사고 예방 전기설비에서 접지선 또는 접지측 전선의 오접속 등에 의한 전압의 착오, 사고의 발생 등으로 인한 위험의 발생, 부하의 평형접속 등에 있어서의 혼란을 피하고 안전운전을 기하기 위하여 전선을 식별해요. 찾기도 펺해요 상구분도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