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혼자 자취하는 집 전력사용량이 이상해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말씀 처럼 여러가지 면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확인해 볼 사항은 있는것 같습니다. 먼저 전자기기에 특정 시간대에 작동하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볼필요가 있습니다. 아침에 창문을 열어서 환기를 할경우 공기청정기등이 환기하면서 발생되는 먼지에 의해서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수도 있고 아침에 냉장고를 많이 열었다 닫았다 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그러면서 전력이 높았다가 오후에 사람이 없을때는 이런 현상이 없어서 낮아 질수도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전자기파 관련해서 어떨때 증폭되거나 영향이 미치는 것들이 있을까요?? 증폭하는 이유는 처음만들때 크게 만들지 못해서 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기파는 자연적으로 증폭되지 않고 증폭기등을 통해서만 증폭됩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증폭하지 않는 이유는 증폭할 경우에 전력 소모가 크기 떄문입니다. 보통 스마트폰에서 전자기파를 활용하는데 처음부터 큰 폭의 전자기파를 활용하면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별도의 증폭기로 증폭시켜서 사용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전력을 많이 사용한다는것은 전류가 많이 흐른다는건가요?? W= V x I라서 전류가 흐르는게 맞는거죠??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사용되는 전기의 경우 전압은 일정하고 사용되는 전력이 크다고 하면 결국 전류가 크게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말씀 주신것처럼 W= V x I이기 때문에 전압이 높거나 전류가 높으면 사용되는 전력이 큰것입니다. 근데 전압일정하니 전류가 많이 흐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전자레인지의 전자파는 어느 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렌지 전자파는 문 밖에서는 0.1 mW/cm² 이하 이기 떄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나라에 승인 받지 않은 전자기기이거나 잘 안닫혀 있거나 하면 더 큰 전자파가 나올수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최소 30cm이상 떨어져서 사용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9일 작성 됨
Q.
전고체 전지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고체의 경우 기본적으로 지금 상용화 되어 있는 액체 전해질 배터리와 안전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액체 전해질의 경우 분리막이 있어서 음극과 양극이 만나서 단락될경우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열이 나서 불이 날수 있습니다. 이경우 외부에 충격이 있을 경우 분리막이 손상되면서 나타나는데 전고체 배터리의 경우 고체이기 떄문에 분리막이 필요 없고 외부 속상에 의해서도 단락되지 않아서 안전성이 좋다고 볼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9일 작성 됨
Q.
근거리통신망과 구내통신망 설명부탁드러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근거리 통신망은 근거리 즉 몇m~몇km등 그 거리에 따른 통신이 가능한것을 말하고 구내 통신망은 구내 즉 특정 장소 회사내나 학교내 등 특정 장소에서만 사용되는 통신을 이야기합니다. 다른 개념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9일 작성 됨
Q.
서버실에서 오래 있으면 전자기장의 영향에 의해서 몸에 안좋은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서버실에서 나오는 전자기장의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그래서 큰 영향은 없습니다. 다만 고전력 장비가 있거나 그럴때는 문제가 되지만 단순히 서버만 있는 곳이라면 크게 영향은 없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계속 있으면 좋지 않으니 최대한 짧게 있으시길 권유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9일 작성 됨
Q.
IoT는 어떤 기술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loT란 사물인터넷이라고해서 사물들끼리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스스로 판단해서 행동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날씨가 화창한 시간에 조도 센서가 조도를 확인해서 밖이 밝으면 내부 전등을 끄거나 해서 에너지 관리를 하고 밤에는 조도가 낮아서 내부 전등을 켜서 환하게 해주는 등의 시스템을 말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9일 작성 됨
Q.
무선충전의 거리가 현재너무 짧은데요. 길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장 범위를 넓게해야하기 대문에 문제가 되는 걸까요?? 아니면 왜 아직 상용화가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의 경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그 코일에서 자기장이 발생되면서 그 자기장이 상대편 충전하려는 기기의 코일에 영향을 주어서 전자기 유도가 발생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런데 이런 자기장은 현재 거리가 비해서 세기가 거리가 늘어나면 그에 세제곱 비례해서 줄어들어서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또한 이런 자기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코일이 필요하고 그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현재는 상용화 되지 않은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6월 8일 작성 됨
Q.
깃허브 연동된 포켓와이파이 설정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결국 포켓 와이파이가 얼마나 잘 연동되어서 인터넷이 끊기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터널이나 산속등에서는 기지국과의 연결이나 장애물등에 의해서 어쩔수 없이 끄놀수 잇습니다. 그래도 현재 가장많은 기지국을 가지고 있는 SK가 가장 안전할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 이동속도도 결국은 5G가 좋기 때문에 5G사용을 권장드립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