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립된 섬에서 섬 거대화가 일어나는 현상이 우리나라에도 발생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섬처럼 유전적, 생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거대화 현상. 수많은 진화론의 실증적 증거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섬 왜소화와는 반대현상으로, 원래 작았던 동물들이 상위 포식자가 없거나 혹은 상위 포식자를 이겨내기 위해 더 크게 진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몸집이 커진 생물은 여러 가지 이점이 생긴다. 몸이 커지면 그만큼 많은 양의 먹이가 섭취 가능하고, 일정하게 체온 유지가 가능해[1] 생존율이 올라간다. 일정 수준 이상 덩치를 불리면 포식자들의 위협을 덜 받을 수 있다는 부수적인 이점도 존재한다. 본래 크기가 작은 생물들인 조류, 파충류, 곤충 및 절지류, 갑각류에게서 많이 나타나나, 포유류 중에서도 섬 거대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실례를 찾을 수 있다.섬 왜소화와 마찬가지로 섬이라는 지형 특성상 이 형질을 보이는 동물들은 대체로 멸종한 종들이 많다. 여기에는 거대화해 인간이 잡기 쉽다는 특징 때문에 인간의 손에 멸종한 것이 크게 한몫한다. 물론 갈라파고스땅거북이나 스리랑카표범, 카카포같이 아직 살아있는 종들도 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아직도 황소개구리가 많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황소개구리는 멸종시켜야 할 위해 동물로 분류된 것이므로 멸종되도록 잡아없애는 것이 환경 회복이 되는 것입니다.​따라서 황소개구리가 현재 개체 수가 줄어들어서 멸종에 가깝다고 하면 멸종 위기가 아니라 멸종되면 환경복원이 되어간다는 뜻이 됩니다.​황소개구리는 외래종이며 한때 식용으로 사육하려고 수입한 것인데 한국인은 개구리 요리를 좋아하지 않아서 수입한 것이 실패하였으며 그 사육하던 황소개구리를 방생한 것이 무섭도록 번식을 하면서 토종 개구리를 포함해서 작은 생물을 무차별로 포식하여 생태환경을 파괴하고 있는 것입니다.​그래서 이 황소개구리는 환경을 파괴하는 생물이므로 잡아 없애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특히 우포늪 등에 엄청 번식하는 것을 없애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물의 표면 장력을 전기로 없앨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표면 장력을 약화시키는 물질- 물 분자들은 수소결합을 하므로 표면장력이 크지만,- 비누 등 계면활성제는, 표면에 몰려있으면서, 수소결합을 파괴하므로,• 계면 활성제 (surface Active Agent, surfactant)•. 보통, 한 분자 속에 친유기와 친수기가 함께 들어 있는 양쪽 친매성인 물질-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킴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갈릴레오는 무엇을 근거로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행성이 둥글게 형성되는 이유는 중력입니다. 매우 큰 질량을 가진 천체, 예를 들면 태양, 행성, 달 등은 모두 자신의 중심에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모든 지점에서 동일한 중력을 발생시킵니다. 이것은 지구를 포함한 다른 행성들도 마찬가지입니다.아주 조금이지만 행성들이 불규칙한 모양을 띄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혜성의 경우 중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불규칙한 모양을 띄게 됩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행성들은 중력에 의해 둥글게 형성되며, 이것이 모든 천체들이 둥글게 형성되는 이유입니다.지구가 둥근 이유 1.바다의 배가 앞부분부터 보인다. 배가 항구로 들어올 때 배의 앞부분 일부만 보이다가 점점 배의 전체 모습이 보입니다.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 배의 전체모습이 작게 보이다가 크게 보였을 것입니다.2.월식 때 지구의 그림자 월식이란 지구가 달과 태양사이에 위치하는 때를 말합니다. 이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는데 둥근 모양이 생기죠.3.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별이 차이가 난다. 대한민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북두칠성이 남반구에서는 안보이는 것처럼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볼 수 있는 별이 다릅니다. 지구가 평평하다면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별이 보여야 합니다.4.마젤란의 세계일주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 배가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기 때문에 마젤란은 세계일주에 성공하지 못했을 것입니다.5.높은 곳에 올라갈수록 보이는 범위가 넓어진다. 예를 들어 일반 도보를 걸을 때랑 산에 올라갔을 때 보이는 범위가 달라집니다. 지구가 평평하다면 높이에 상관없이 볼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지지 않습니다. 6.위도에 따라 북극성의 고도가 달라진다. 위도에 따라 북극성이 보이는 각도가 다른데 저위도로 갈수록 가까이 보이고 고위도로 갈수록 멀리 보입니다. 평평하다면 어디에 있는 보이는 각도는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곤충이나 동물들은 혈액형이 있는지 그렇다면 어떤 혈액형으로 구분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론 동물들도 사람과 같은 형태는 아니지만 사람의 혈액보다 더 다양한 여러 종류의 혈액형이 존재한다.소의 경우에는 A, B, C, F-V, J, L, M, N, S, Z, R’-S’, T’ 등 12가지 혈액형이 있으며 말은 7가지, 면양은 8가지, 닭은 13가지 그리고 돼지는 무려 15가지의 혈액형을 가지고 있다.원숭이의 경우 사람과 유사한 A, B, AB, O형이 있으며 침팬치는 B형 인자가 없어 A형과 O형 뿐이 없다. 고릴라 같은 경우는 B형만 있으며 오랑우탄은 A, B, AB형만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 중 사람과 가장 친숙한 개 같은 경우는 혈액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는데 개의 경우에는 A, B, C, D, F, Tr, J, K, L, M, N 등 11개의 혈액형군이 있다.이중 Tr항원은 사람의 ABO 혈액형과 마찬가지로 그 항원을 가지지 않은 개에서는 항 - Tr 항체가 존재해 Tr 항원이 음성인 개에게 양성 혈액을 주사하면 수혈의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