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리트머스 종이가 변화하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붉게 변화시킨다. 염기성- 붉은색 리트머스 종이를 푸르게 변화시킨다.리트머스종이는 pH 물질의 산성도를 측정하는 판정용 시험지이다. 파랑과 빨강 2종류가 있는데 파란 리트머스종이를 용액 에 넣어 붉게 되면 그 용액은 산성, 빨간 리트머스 종이를 용 액 속에 넣어 푸르게 되면 그 용액은 알칼리성을 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왜 리트머스 종이가 색이 푸른색과 붉은색으로 바뀌고 왜 산성과 알칼리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모르고 단순히 외우게 된다. 리트머스 색소의 원료는 지중해 연안을 비롯한 남반구의 해안가에 널리 분포하는 이끼류이다. 리트머스 종이는 이끼, 바리올라리아, 레 카노라 등의 이끼를 분쇄하여 암모니아수로 축축하게 한 다음, 탄산칼슘이나 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하여 발효시켜서 만든다. 이러한 이끼류가 산이나 염기, 즉 pH에 매우 민감하게 변하기 때문에 지시약으로 사용한 것이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은하는 몇개의 행성으로 이루어진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런 저런 이유로 천문학자들마저 20세기 초까지 우리 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알고 있었다는 사실은 꽤 놀랍지 않나요. 그 전까지는 안드로메다가 성운인 줄 알았다고 하네요. 망원경의 발달로 은하가 먼지 구름이 아닌 은하인 줄 깨달았다고 합니다. 여튼 은하 하나에 항성은 3~4천억개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는 것은우주에 문명이 우리 뿐인가에 대한 궁금증에 대해 생각해보기 위해서인데요. 일단 여태까지 아무런 외계인의 증거가 없는 것에 대해서 제기되는 다른 두 가지 생각을 짚고 넘어가야겠네요. 하나. 인류가 우주에 있어서는 초기 문명에 해당하며, 지극히 빠르게 번성을 시작한 선구자 격이기 때문에 우주에는 우리 말고는 없거나 거의 없다라는 이야기 입니다. 이는 쉽게 말해 우주는 초창기이며 우리는 운이 좋은 초창기 멤버들이라는 가정이며, 시간의 단위로 보자면 우주의 나이인 138억년도 아직 젊은 편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