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송준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준범 전문가입니다.
송준범 전문가
단국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대학병원 교수진료 볼려면 어떡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아무래도 교수님들이 환자가 많아서 그렇게 되는 경우가 꽤나 있는데요. 환자분께서 느끼시기에 그렇다면 말씀을 드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정말 신경치료가 필요한 부분인지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사진 화질이 낮아서 모호하긴 합니다만 증상이없다면 레진과 다른 재료로 덮어놓고 지켜볼 수는 있습니다. 다만 사진에서 보이는 것 보다 실제 충치가 더 깊기 때문에 충치 제거 후 신경이 드러난다면 신경치료를 들어가게되는데요. 걱정되신다면 다른 치과에 내원해보셔도 괜찮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이와 이 사이에 충치가 생겼는데 아프지도 않아요. 그래도 치과를 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그정도라면 치과에 내원해서 치료를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은 통증이 없으시더라도 충치가 더 진행되면 치아의 신경까지 염증이 발상할 수 있기 때문에 갈 수 있다면 빨리 가시는게 좋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과잉치 수술 5일차!! 실밥 몇개 풀었는데 질문있어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안에 있던 과잉치가 제거되면서 오목하게 들어가는데요. 안에서부터 피가 차올라 뼈와 잇몸이 생기기 때문에 겉에있는 조직이 일부 괴사되고 꺼져서 혀로 건드렸을 때 오목하게 들어갔다고 느껴집니다. 겉의 잇몸은 1개월 정도, 안쪽 뼈는 3개월 정도 지나면 다 아물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예전처럼 매끈해지게될테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하품을 연달아 해서 광대가 뭔가 느낌이 뻐근했는데 광대가 커질까요? 그쪽이 하품하면 소리나고 턱관절이 안좋음 쪽이였는데 얼굴형이 커지고 광대뼈도 커질까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하품으로 광대가 커지진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또한 치아의 이동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힘이 지속적으로 치아에 작용해야하기 때문에 그정도로 이동 하진 않지만 해당 행위를 지속할 경우 턱관절이나 치아에 문제가 생길 수는 있으니 주의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치과에서 실란트 했는데 떨어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실런트는 레진으로 딱딱하기 때문에 아마 입안에 남아있던 음식물 잔사나 다른 것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임플란트 후 입천장에 동그란거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치아 내부 신경 염증으로 뿌리 끝에서 나온 고름이 입천장으로 나온 것으로 보이기는 합니다만CT를 찍었는데도 모른다는건 치아 때문이 아니라 연조직 내에서만 발생한 문제라는 것인데요. 노란색은 고름으로 보이기도 하고 염증도 심해보여 방치하기 보단 지금 다니는 치과에서 처치 받으시던가 다른치과 가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현재 중3인데 치아 교정을 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교정을 하다보면 치아의 이동이 있기에 뿌리가 어느정도 녹을수는 있습니다만 부정교합과 고르지 못한 치열로 인해 관리가 잘 안되어 충치나 염증이 생겨 고생할 확률이 높아서 교정에 대해 부정적으로만 보진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치과 검진 주기는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보통은 1년에 한번씩 스케일링 받으면서 검진 받으시면되고 걱정되시면 6개월에 한번정도도 괜찮습니다.
치과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치과의사선생님 제발 도와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사실 대학병원에서 특진을 받고계시다면 여기에질문하시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들긴합니다만…간혹 치아 뿌리 끝에 염증이 생겨서 뼈가 생긴다면 그 염증이 치유되면서 여러가지 조직으로 바뀌는데요, 가장 이상적은 것은 골조직으로 치환되는 것이고 두번째로는 섬유성조직으로 치환되서 까맣게보이는 것이고 세번째로는 저렇게 경조직으로 치환되어 하얗게 보이는 것 인데요.통증이 없다면 사실 문제는 없지만 계속 통증이 있다면 치근단 절제술을 시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사진상으로 보기에 상악동과 겹쳐보여서 수술 할때도 조금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