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수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전문가입니다.
강수성 전문가
경기도교육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어린아이는 꿀을 먹으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보톨리누스균 중독 증상때문이라고 합니다. 돌 이전 아이들에게는 이것때문에 꿀을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마왕 신해철입니다 우리 어릴 때는 동네에서 소꿉놀이 공기놀이 고무줄 놀이 딱지치기를 하고 자랐는데요 요즘 아이들은 이런 것을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들이 하는 놀이나 노래 등이 저희가 어릴때 했던걸 여전히 하는경우도 종종 있더라구요. 2~30년전 부르고 했던 것들이 지금 아이들이 하고 있는것을 보곤 놀랄때가 많기도 하고, 예나지금이나 아이들이 좋아하는게 비슷하구나 싶습니다. 소꿉놀이같은 역할놀이는 꾸준히 아이들이 좋아하고, 공기ㆍ실뜨기놀이ㆍ고무딱지 등 여전히 하는아이들이 꾸준히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버즈에 가난한 놈입니다 저는 어릴 때 용돈을 거의 받아 본 적이 없었고 알바를 했었는데요 아이들에게 용돈을 정기적으로 주는 것에 장단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정기적으로 줄 수 있다면 아이의 경제적 관리능력을 기르는데 큰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다만 너무 과하거나 너무 모자라지 않아야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액수의 정도는 가정마다 학생마다 편차가 있으므로 협의가 필요할 듯 합니다.
놀이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수강생같은거 모집할때 청소년 어린이 기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일반적으로는 13~18세를 청소년으로 보고 있지만 모집하는 곳에 따라 한두살씩 다르게 인정하는 곳이 있습니다. 꼭 정확한 숫자를 먼저 확인해보시길 권합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볼땐 사춘기 시점부터 청소년으로 보는게 좋지않을까 생각되네요. 그나이가 지금은 12살부터인데 11살로 내려가는 추세인듯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육아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저는 가끔씩이라도 아이와 거리를 좀 두는것이 도움이 되었던것 같습니다. 아무리 사랑하는 자식이라도 종일 같이 붙어있다보면 스트레스가 감당하기힘들 때가 있는데 가끔의 그런 리프레시를 시킬 시간이 꼭 필요했던것 같습니다. 이건 주변 또는 배우자의 도움이 필요하므로 그러기 힘들때는 아이유모차를 끌고 수시로 산책을 나가는게 아이에게도 저에게도 도움이 많이 되었던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영유아 검진은 몇 살이 될 때까지 검진을 받아야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영유아 건강검진은 생후 14일 부터 71개월 까지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가까운 소아과나 치과 등에서 받으시면 되고, 예약이 필요한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시간만 영유아 건강검진을 하는 곳도 있으니 사전에 연락을 해보는것이 좋겠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5학년 아이는 여름방학동안 어떤 종류의 책을 읽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도서관을 꾸준히 가보는것을 추천합니다. 아이가 빌릴 수 있는 책들을 매주, 권수는 아이가 읽을 수 있는 양만큼, 다양한 주제의 책을 빌려서 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이가 책을 좋아하지않는다면 관심있어하는 분야에 집중을 하다 확정을 해가는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아이가 집중을 잘 하지 않는데 집중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먼저 집중력을 방해할만한 요소들을 제거하는것이 우선인것 같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미디어기기는 집중력을 길게 유지하는 데는 좋지않은 영향을 많이 미칩니다. 그리고 학습환경을 깔끔하고 학습에 필요한것 외에는 치우는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집중해서 학습하는 시간을 보시고 조금씩 그 시간을 늘려가는것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12일 작성 됨
Q.
아이가 놀러와서 음식이 맛이 없다고 했을때 예절?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다른가정의 아이들이라면 그러려니하고 냅둘것 같습니다. 하지만 내아이에게는 타산지석삼아 확실히 알려줘야한다 생각합니다. 타인의 호의와 도움 또는 배려를 가볍고 쉽게 생각하지 않는것은 사회생활을 할 때 중요한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부모님이 알려주고 지속해서 얘기해줘야 할 부분인듯하네요.
유아교육
2024년 8월 12일 작성 됨
Q.
대부분 엄마들은 보통 다 훈육하나용?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눈에넣어도 아프지않을 아이라 그런마음이 드시는것은 이해합니다. 그리고 훈육이 필요없을 정도로 스스로 잘해낸다면 그럴필요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적당한때에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기위해서는 훈육은 꼭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꼭 훈육이 혼내는것만 있는건 아니니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있게 도와주시는것이 필요합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