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심은채 전문가
태건씨엔디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11개월아기 과일은 어떻게주죠?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치아가 나왔나요? 치아가 돋아났다면, 구지 과일을 갈아서 주지 않고, 씹어서 먹을 수 있으니 과일을 잘 세척해서 잘라서 먹여 보기 바랍니다 돌 정도의 아기들은 거의 모든 과일은 다 먹을 수 있으나 아이가 특별하게 알러지 반응이 있는 과일을 먹이지 않아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밥을잘 안먹고 군것질만 하려고 하는 아이 버릇을 어떻게 고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군것질은 아무래도 달달하므로 아이들의 입맛에 맞기 때문에 아이들이 군것질만 하게 되는 것 같아요갑자기 끊게 되면, 아이가 힘들어할 수 있으니,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 조금씩 줄여 나가고, 칭찬과 보상을 적절히 하면서 줄여나가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아기는 자는곳이 바뀌면 정서상 안좋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매일 바뀌는 게 아니라, 정기적으로 주말에만 조부모님댁에 가서 잔다면 크게 정서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 같아요. 아기가 잠자리가 바뀌었다고 잠투정을 하거나, 잠꼬대를 하거나, 몸부림을 친다면, 고민을 해 보셔야 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역사 교육을 하려면 몇살부터가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역사 교육을 시켜주려면 어릴 때부터 시작해도 될 것 같습니다가까운 역사 박물관에 자주 가셔서 경험하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또한 미취학 아동들도 역사 학습 만화를 쉽게 접하게 되면 우리 역사를 이해 하는 데 도움이 될겁니다
유아교육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2학년인데 책 읽을때 계속 그림만 보는데...?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그림만 보고 있어도 우선은 책에 대한 관심이 있기 때문에 우선은 지켜 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부모가 아이에게 그림만 보지 말고, 책의 글을 읽으라고 강요를 하게 되면, 아이가 책에 대한 흥미가 더 떨어질 수 있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9개월 아기인데 요즘 우는 소리를 너무 자주 합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직 아이가 말로 표현이 힘들므로 자신을 봐달라고 우는 소리를 하는 경우가 많답니다이럴 땐 아이의 마음을 대시 읽어 주세요예를 들면, 아팠구나, 배가 고팠구나, 자고 싶지 않았구나! 등 아이의 마음에 공감을 해주면서 아이의 마음을 대신 읽어 주시면, 아이도 점차 우는 소리가 줄어들고 올바른 표현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고집이 쎄서 말을 안 듣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다섯살, 여섯살 정도 되면 자기 중심적인 성향이 강한 시기랍니다 이럴 땐, 우리 아이가 많이 성장했구나 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 시기만 잘 지나가면 다시 사랑스런 아이로 돌아올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아기가 36개월인데 가끔씩 너무 피곤해서 밥먹다가 자는데 괜찮은걸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식사를 할 땐, 아이가 잠에서 깨어나고 어느 정도 움직일 때 그 때 하는 게 좋겠습니다 졸릴 때 식사를 하게 되면, 잠이 들어 버릴 수 있으니, 자고 나면, 밥을 먹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아이들은 몇 살까지 업어 주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성향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늦게까지 업어 달라는 아이들도 있고, 요즈음엔 유모차가 잘 발달이 되어서 업고 다니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아요돌 전까지는 업어야 할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3년 10월 6일 작성 됨
Q.
9개월 아기, 소리지르기 시작했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9개월이면 아직은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이 어렵기때문에 소리를 지르는 것이랍니다 부모님이 대신 아이의 마음을 읽어 주는게 중요합니다
476
477
478
479
4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