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습관·식이요법
Q.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
안녕하세요. 한미자 영양사입니다.동물성 단백질에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유제품(우유, 치즈), 생선류등이 해당되며 식물성 단백질에는 콩, 곡류, 버섯 등이 해당됩니다.동물성 단백질은 높은 단백질 함량과 필수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있지만 지방함량도 높아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섭취도 같이 늘어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성인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계란, 우유 등 유제품은 알레르기 반응도 나타날수 있습니다.반면 식물성 단백질은 동물성에 비해 지방함량이 적어 저칼로리이고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걱정은 없지만 필수 아미노산이 적은 편이라 추가로 보충해야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식물성 단백질은 음식으로 섭취할 경우 g당 단백질 함유량이 동물성 단백질들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식습관·식이요법
Q. 비알콜성 지방간에 식이조절을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한미자 영양사입니다.비알콜성 지방간은 음주를 하지 않았는데도 식습관 및 생활 습관으로 인해 간에 지방이 침착 된 것을 말합니다.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식재료와 낮은 탄수화물, 통곡물, 견과류, 야채를 위주로 식단을 구성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간건강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유발하는 영양소 중 하나는 과도한 과당으로 총에너지 섭취량의 20% 이상을 차지할 때 지방간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