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좌승협 전문가
제주 백록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3월 8일 작성 됨
Q.
아이가 부모 말 안듣는게 몇살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부모 말을 안 듣는 거는 아이마다 성향도 다르고 과가 환경이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나이때 말을 안 듣는다기보다는 나이때 그 성격이 바른 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게 높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6일 작성 됨
Q.
6세 여아가 욕심이 너무 많아요 무엇이든지 본인이 일등 이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신이 1등 한 경험이 매우 행복했거나 그 과정에서 느끼는 성취감적인 때문에 더욱 더 더 1등 의 집착하는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 친구들과 함께 무언가를 이루어 내는 놀이 등을 찾아 보아 이유들과 함께 경쟁 없이 할 수 있는 놀이를 꾸준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6일 작성 됨
Q.
여름철에 아이 아토피피부는 어떻게 관리해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땀을 너무 많이 흘리는 환경을 조성 하지 않아야 할 것 같습니다 자주 씻기고 자주 보습을 발라 주면 좋겠지만 신 드레스가 드러날 수록 보습이 강도가 약해 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땀을 너무 많이 내지 않도록 관리 해 주시고 땀이 난다면 바로 닦아 주세요
유아교육
2024년 3월 4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시험이 없는데 어떻게 학습능력을 평가하죠?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에서는 수행평가 등을 통해 학생의 성취도를 판단 하고 있습니다 예전처럼 점수를 해서 96 점 백점 이렇게 채점을 하고 있진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아이의 성취 정도를 판단 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처럼 지필 고사 등을 활용해 성적을 입력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약 이런 부분이 필요하다면 학원 또는 가정에서 따로 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4일 작성 됨
Q.
아이가 한숨을 쉬기도 하고 표정도 어두운 경우가 있는데, 부부 모습이 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나이가 나와있지 않아 정확히 판단할 수 없지만 아이가 종종 한숨을 쉬고 표정을 어둡게 짓는 것은 긍정적인 반응은 아닙니다 아이에게 이유를 1번 천천히 물어 보고 이유를 듣고 부모님끼리 협의 한 후 해걀 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만약 해결 방법을 찾기 어렵다면 주변 상담소 등을 알아 보시기 바랍니다
놀이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혹시 아이의 키가 얼마나 클지 예상해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기도 큰 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 추측일뿐 정확한 진단이 성장 의학 과정을 방문이 부모의 기능을 비교 하는 경우 조금이라도 정확한 수치를 할 수 있습니다
놀이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생후 150일 아기는 어떤 놀이를 해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생후 105 10일 정도에 아기 의 경우 아이가 갖고 놀 만한 장난감 종류에는 인형 쪽쪽이 큰 교구 등이 있습니다 네이버 등 205 10일 아기 장난감 이라고 검색하면 다양한 장난감이 나옵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아이 접종열 어떻게 해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올 수 있는 해열제가 있다면 아이의 나이에 많은 용량을 확인 후 해열제를 복용 해야 합니다 또는 근처 병원을 방문해 아이를 떨어트릴 필요가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코골며 자는 아이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코를 세근세근 보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코가 막히지 않고 콧물이 많은 게 아니라면 아이가 편하게 잘 수 있게놔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놀이
2024년 3월 2일 작성 됨
Q.
18개월 남아에 맞는 장난감 종류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함께 장난감을 파는 마트 등을 방문해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놀이감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