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좌승협 전문가
제주 백록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30일 작성 됨
Q.
양치를 싫어하는 아기 어떻개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양치를 재미있고 즐겁게 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 같슴니다. 나중에 치과 진료보고ㅡ 치료하는 과정이 너무 힘들기 때문에 어덯게든 시켜야 하는데요일단 저희 같은 경우 호랑이 삼촌이 양치 안한애 잡으러 온다고 겁도 주고요 경찰 사이렌 소리 들려주면서 지금 양치안하면 문 앞에 온다고 겁 주니까 이젠 잘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요즘따라 학습 능력이 떨어졌어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공부를 하기 싫거나 지쳐있을 수 있습니다. 또 이전과 다르게 아이가 이해할수 없는 어려운 내용일 수 있습니다. 일단 차근차근 가르쳐주는 게 가장 좋습니다만 이게 말이 쉽지 실천하기가 어렵습니다.어떤 과목의 공부를 하고 있는지 몰라 자세한 답변은 어렵지만, 놀이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저희 아이들이 자꾸 부모 지갑에 손을 대여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정말 단호하게 해야 합니다. 정말 해서는 안되는 행동인걸 가르쳐주세요. 이런 행동을 할 경우 경찰서에 가야 할 수 있다. 정말 장난으로라도 해서는 안되는 행동이라고요
놀이
2023년 9월 29일 작성 됨
Q.
어린 아기들도 동물을 보면 좋아하나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무서워할 수 있습니다만, 살아 있는 동물을 좋아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좀 더 커서 가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놀이
2023년 9월 27일 작성 됨
Q.
10개월 아기 언어 발달에 좋은 놀이법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언어발달에 가장 좋은 건 많이 듣고 따라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다예를 들어 엄마라는 말을 들려주고 엄마~ 엄마~ 따로 해보라고 하는거죠 이렇게 조금씩 따라하면 어느 순간 말이 트이기 시작합니다. 일단 많은 인풋을 주는 게 좋습니다.
놀이
2023년 9월 26일 작성 됨
Q.
11개월아기 처음 비행기타는데 주의사항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단 아이가 심하게 울 경우 달랠 것들이 필요합니다 정말 좋아하는 간식 유튜브 화면 등이요. 정말 계속 울고 불고하면 기내에 있는 승객들이 불편하기 때문에 정 안되면 이거라도 해야겠다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25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1학년 첫 자전도 교육은 어떻게 하면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두발 자전거 타는 걸 어려워 하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무섭고, 처음 타는거라 걱정도 되고요. 넘어지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그러므로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넘어질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그리고 뒤에서 부모님이 잡고 페달을 힘차게 밟아야 한다고 알려주세요
놀이
2023년 9월 25일 작성 됨
Q.
아이가 폭력성 있는 만화를 좋아하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아이가 보는 만화의 시청연령이 몇 살인지 확인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문제가 없다면 너무 심한 모방을 하지 않게 교육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24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훈육할때 어떤 자세로 훈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단 아이가 울고 불고 할 경우 진정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어릴 수록 엄마 아빠가 하는 이야기를 100%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단순하고, 간결하게 설명해야 합니다.해서는 안되는 행동을 간단히 알려주고 반복해서 피드백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24일 작성 됨
Q.
7세 아이 두발자전거를 가르치는데 자꾸 짜증을 내고 자기 마음대로 하겠다는데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잘 안되니 짜증도 많이 나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도움을 인정하고 함께 해야 하는데 자기 스스로 이뤄내고 싶어하는 것 같습니다. 위험하지 않다면 한 번 해보라고 놔두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말해주세요. 오늘 만약에 잘 안되면 내일은 아빠나 엄마가 조금은 도와주겠다고요.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