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좌승협 전문가
제주 백록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아이둘에 다문화가정이면 거의 어린이집 되는 편일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다문화 가정의 가산점이 있다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주변에 괜찮은 곳을 알아보신 후 1~3순위 넣으시고 대기 기다려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놀이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9개월 아기입니다. 카시트를 타면 자꾸 우는데 안 울게 하는 방법있나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특성 상 보호자의 품에서 벗어나거나 하면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어떤 아이는 카시트에 타도 도착지에 갈 때 까지 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예를 들어 아빠가 운전을 할 경우 엄마가 뒷 좌석에 앉고, 아이를 카시트에 앉힌 후 어떻게든 아이를 달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아이 잠자리 분리는 언제부터 시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마음의 준비가 돼야 합니다. 억지로 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이가 따로 자고 싶어하거나, 아이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5일 작성 됨
Q.
아이가 5살이 되도록 통잠을 못자면 문제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마다 다른 문제입니다. 어떤 아이는 7살이 넘어도 통잠을 자지 못합니다. 건강상에 문제가 아니라면 타고난 아이의 성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5일 작성 됨
Q.
아침잠은 많고 밤잠은 없는 아이는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밤에 유튜브, 영상 등 잠에 방해되는 활동을 해서는 안됩니다. 잠이 안온다고 핸드폰을 하거나 다른 미디어 매체를 보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일단 수면 패턴을 바꿔야 합니다. 밤에 늦게 자기 때문에 아침잠이 많은 것이기 때문에 밤잠을 길게 잘 수 있게 패턴을 바꿔야 해요
양육·훈육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입이 가벼운 아이는 어떻게 주의시켜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누군가에게 어떤 이야기를 할 때 해도 되는 이야기와 해서는 안 되는 이야기를 하나씩 알려주세요. 또 모든 일을 다른 사람에게 다 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도 지속적으로 이야기 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아이가 극도로 미술(그리기)에 소극적인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신이 그린 그림이 예쁘지 않다고 생각해서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이 그린 그림을 보고 만족할 수 있는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유튜브 그림 따라 그리기를 부모님과 함께 하기 또는 집 주변 미술 학원 중 아이의 미술 수준을 반영해 지도해주는 곳을 찾아보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4일 작성 됨
Q.
아기가 중이염에 걸린 원인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네 귀에 물이 들어가도 생길 수 있습니다. 중이염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이비인후과 등에 가서 진료를 봐야 합니다.열도 날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 치료를 안할 경우 몸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TV프로그램에서 아이가 잘못하면 생각의자에 앉혀서 훈육하는 방법을 봤거든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잠시 생각할 시간을 줍니다. 또 그자리에 앉는 다는 것은 진정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뭔가 지금 내가 하는 행동이 그리고 이전에 했던 행동 중 무언가가 잘못됐다는 걸 알려줍니다.이때는 아이에게 화내서는 안됩니다. 일단 자리에 앉고, 아이와 부모님이 함께 잠시 정적을 느끼면 서로의 마음을 달래야 합니다.그리고 난 후 아이와의 대화를 해야 합니다.
놀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노는 걸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놀면서 크고 놀면서 배웁니다. 물론 놀이를 하면서 얻는 것이 적어지고,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면 조절해야 합니다.아이들이 놀고 나서 정리하는 습관, 노는 과정에서 다툼이 일어났을 때, 마찰이 있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조금씩 가르쳐주는것이 좋습니다. 또 다른 놀이 방법은 없을까? 함께 고민하면 더욱 좋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놀수는 없기 때문에 조절하는 것도 가르쳐야 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