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갈수록 대출금리와 아파트가격이 동반상승되는 요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모든 재화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됩니다. 부동산의 수요가 많은데 공급이 적다면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부동산의 수요가 적은데 공급이 많다면 가격은 하락하게 됩니다.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수요가 하락하게 됩니다. 이에 부동산의 가격 하락세가 형성됩니다.다만, 이외의 변수가 개입하면 변동이 될 수 있습니다. 바로 정부의 개입입니다. 정부가 오르는 금리를 상쇄시키는 50년 주택담보대출 이런 것들을 만들기 시작하면 원리금 부담이 줄어들어 집을 사는 수요가 생길 수가 있는 것입니다.현재 부동산 가격의 반등은 하락에 따른 반등, 주택담보대출 50년, 기준금리가 고점이라는 예측 등이 반영된 사항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Q. 연준의 금리인상 및 원유가격 상승이 채권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원유가격이 상승하면 물가상승이 따라오기 때문에, 이를 잡기 위해서 금리인상이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현재 미국의 금리인상과는 다르게 한국은 3.5%에서 더이상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결론적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은 미국채권 금리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렇게 되면 전세계의 유동성이 미국채권의 구매를 원하게 됩니다. 인기가 없어진 한국채권도 자금조달을 위해 더 높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하게되며, 채권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