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존 4세대 실비보험 가입자입니다. 5세대 실손보험이 출시된다고 하던데, 4세대와는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먼저, 실비보험은 세대별로 이렇게 변해왔어요!1세대 (~2009) / 100% 보장 / 자주 아픈 사람에게 유리 / 적자 심각2세대 (2010~2017) / 비급여도 보장 / 자기부담금 생김3세대 (2018~2020) / 통원 1만 원 공제 / 일부 비급여 조정4세대 (2021~현재) / 급여/비급여 분리, 비급여 특약화 / 비급여 청구 이력에 따라 보험료 할증📌 5세대 실손보험 (2025년 출시 예정) 핵심 변화 요약항목 4세대 실비 5세대 실비 (예정)비급여 보장 방식 특약으로 분리, 자기부담률 있음 동일하되 보장항목이 더 축소될 예정도수치료 등 보장 연간 한도 제한 + 자기부담금 있음 아예 비보장(전액 본인 부담) 가능성보험료 할증 기준 비급여 사용 횟수에 따라 1.5~4배 할증 동일 또는 더 빠르게 할증 적용 가능성가입자 구분 통합 운영 질환별/이용패턴별 세분화 검토 중✔ 요약:→ 5세대 실손은 혜택은 줄고, 조건은 더 까다로워지는 방향이에요.😓 왜 이렇게 계속 혜택이 줄어들까요?이유는 질문하신 것처럼 정확해요!✔ 소수의 과잉청구 (도수치료, MRI, 비급여 시술 남발)✔ 보험 재정 악화 → 보험료 폭등✔ 건강한 사람은 보험금 청구도 안 하는데→ 보험료는 똑같이 올라가는 구조→ 그래서 정부와 보험사 모두 “실손 지속 가능성”을 이유로 보장 축소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거예요.🤔 그럼 앞으로 실비는 가입할 필요가 없을까요?✔ 꼭 그렇진 않아요!✅ 실손은 여전히 치료비 보장을 받는 유일한 실비형 보험이에요.✅ 하지만 “과잉치료나 잦은 청구가 없을 것”이라는 사람에게만 점점 유리한 구조로 바뀌고 있어요.참고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Q. 보험 가입후 병원 가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현재 다시 처방받는 건 문제될 가능성 거의 없습니다.→ 보험금 지급 심사에는 영향 없고, 고지의무 위반에도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요.📌 왜 괜찮은가요?1️⃣ 이미 고지를 했고, 보험사가 승낙한 상태→ 당시 안구건조증을 완치로 고지했고, 보험사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가입을 승인했으니 고지의무는 이미 이행 완료!2️⃣ 경미한 질환 + 인공눈물은 일반 치료→ 안구건조증은 보험에서 상해·중대질병 보장과 무관한 질환→ 실손의료비에서도 보통 소액 외래 진료로 처리되며, 보험금 지급 거절 사유가 아닙니다.3️⃣ 고지의무는 가입 '이전 3개월/6개월/5년 이내' 등으로 제한→ 가입 이후 병원 내역은 고지의무 대상이 아니며,→ 병원 가는 자체가 보험사에 영향을 주지 않아요.⚠️ 단, 이런 경우만 주의!보험 가입 후 바로 큰 질병(암 등)으로 병원에 가고 보험금을 청구할 경우→ 가입 전 병력이 문제될 수 있어서 조사는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안구건조증처럼 일반적인 증상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참고해주시면 좋을거같습니다
Q. 보험조사중고지문제가될까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결론 먼저 말씀드리면:고지의무 위반에 해당할 가능성은 낮습니다.단, 당시 보험 가입 시점의 고지사항 질문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보험 고지 기준이 되는 건?보험 가입 시점(2023년)에 보험사에서 물어본 ‘고지사항 질문 항목’이 기준이에요.일반적으로 보험사가 묻는 내용:최근 3개월 / 6개월 / 1년 / 5년 이내에진찰, 검사, 치료, 투약을 받은 적이 있나요?의사로부터 추가검사, 치료 필요 소견을 받은 적이 있나요?👉 핵심은:단순한 건강검진 기록만 있고치료도 받지 않았고약도 먹지 않았고의사의 관리 필요 소견도 없었다면→ 고지 대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각 수치에 대한 해석◾ 혈압 133고혈압 기준(140 이상)에는 해당되지 않음경계 수준이긴 하지만, 약 처방이나 진단받지 않았다면 고지 필요 없음이 일반적◾ 간수치 53일시적 간수치 상승은 흔함 (음주, 피로, 약물, 감기약 등 원인)간염 진단 X / 치료·추적 X였다면 고지 대상 아님⚠️ 다만, 이런 경우는 예외로 조심!건강검진 후 “정밀검사 필요”라는 의사의 공식 소견을 받았거나지속적으로 이상 소견이 반복되었고병원 방문, 상담 기록이 전산에 남았다면→ 보험사에서 고지의무 위반 문제 삼을 수 있습니다.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