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열심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열심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염민우 전문가
국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고구려 때 시행한 형사취수제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형사취수제는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을 대신에 형수와 부부생활을 하는 혼인풍습으로 주로 유목민족에서 보이던 관습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미인의 기준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미인의 기준은 사람마다 달랐겠지만당시 시대의 사회적 기준으로 봤을때"미인도"를 보면 그 기준을 얼추 알 수 있습니다통통한 얼굴과 작은눈, 눈초리가 처진 모양이며몸매는 키가 아담하고 엉덩이가 큰것이 미인이라고 생각하였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부자는 망해도 3년은 간다 라는 말은 왜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당 표현은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속담으로 재산이 많은 사람들은 실패를 해도 일정기간은 먹고사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는 뜻입니다. 특별히 유래는 전해지지 않는 말이며아주 이전 양반집들은 가세가 기울더라도 먹을거리를 걱정하지는 않았으니 그러한 점에서 나온것으로 보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개과천선이란 말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과천선의 유래는중국의 서진시기 주처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이사람은 악한이였는데 사람에게 폭력을 가하고 물건을 부수는게 일이였습니다그러던 어느날 착하게 살겠다고 다짐하였지만 사람들은 믿지 않고 주처가 나타나면 도망치기일쑤였고속상한 주처는 마을을 떠나 어떤 학자에게 고민을 털어놓았습니다이후 학자의 충고를 들은 주처는 10여년간 공부를 해 학자가 되어 다시 마을에 돌아오고그제서야 마을사람들은 주처를 믿어주었답니다.이것이 개과천선의 유래로누군가의 말을 듣고 잘못을 고쳐 달라진것을 뜻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일본에서는 맨홀뚜껑이 합격을 기원하는 부적으로 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맨홀뚜껑은 사람이나 물건이 하수도로 떨어지는것을 방지하고 비에 미끄러지는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때문에이런의미에서 시험에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는걸 방지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그렇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