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오승룡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승룡 전문가입니다.

오승룡 전문가
삼성전자/고려대학교경영전문대학원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유럽에는 pigs가 있다는데 이게 무슨 경제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IGS는 유럽국가 가운데 심각한 재정적자를 겪고 있는 포르투갈(Portugal), 이탈리아(Italy), 그리스(Greece), 스페인(Spain)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용어다. 2008년 7월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왜 돼지(PIGS)는 날지 못하나(Why PIGS can’t fly)”라는 기사를 통해서 처음으로 PIGS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이후에 유럽 언론들이 PIGS에 아일랜드(Ireland)를 포함시키면서 PIIGS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네이버 지식사전 나라 이름의 앞글자를 딴 단어입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NO한국 운동이 국내산업에 많은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부분은 중국과 경쟁하는 소비재 계열 산업이 먼저 흔들리게.됩니다. 다만 우리도 No재팬 운동을 했을때 정작 일본은 그리 큰 피해가 없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가 나올 듯 하네요...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미국이 달러 화폐를 계속 찍어내는 것이 세계 경제에 좋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는 경제 패권국은 계속 적자를 감수해야 패권을 유지할 수가 있습니다. 경제적인 이득도 중요하지만 화폐라는 것은 자유롭게 통용이 될 수 있을만한 숫자가 존재를 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 때문에 패권국은 적자를 감수하더라도 돈을 계속 찍어내야하는 상황입니다. 다만 그 규모가 코로나 때와 같이 거대해지면 정치적인 불리함이 작용하므로 그런 불만을 국외로 돌리기 위해서 이렇게 자국 위주의 정책을 활용하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좋은 방식은 아니나 한국도 마찬가지로 정치가 이분법화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국 위주의 정책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점도 있네요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빅스텝 자이언트 스텝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빅스텝은 0.5% 상승자이언트 스텝은 0.75% 상승을 의미합니다.참고로 0.25%는 베이비 스텝이라고 하며 실제적으로는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미국주식의 가격제한폭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가격제한폭이 없습니다. 한국의 경우 가격제한폭이 있어서 하루에 변동 최대치를 줄인다음 시간이.해결해 준다는 이론으로 유지를 하고 있으나 주식의 가격에 대한 수요-공급을 무시하는 문제가 있어 향후에는 없애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연말에 대주주요건때문에 떨어진다고 하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사실 문제는 저 분들이 지분을 팔면 제가 가지고 있던 주식이 출렁거리는게 더 문제겠지요? 좀 넓게 보자면 지분 많은.사람들이 판다는 것은 공급만 되고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이니 문제가 있다는 의미이긴 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지금처럼 물가가 계속오른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가 계속 오르면 필수재를 제외한 나머지의 매출은 급격하게 줄어들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진행이.되는 것이 바로 공황인데요. 길게 보자면 이렇게 공황이 와야 부채 청산에 힘을 더 내고 부실한 자산을 솎아내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만, 당시 상황을 겪는.사람들은 고통 속에 다른 것을 할 수 있는 여력이 없어집니다. 물론 이러다 보면 물가도 다시 안정화가 되긴 합니다. 도돌이표 같지만 더하거나 덜하거나의 차이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듯하네요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용어 GDP의 뜻을 정확하게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1)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다.GDP는 당해연도 및 기준년도 중 어느 해의 시장가격을 이용하여 생산액을 평가하느냐에 따라 명목 및 실질GDP로 구분된다.명목GDP는 생산액을 당해년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물가상승분이 반영된 것이고 실질GDP는 생산량에 기준년도의 시장가격을 곱해서 계산하므로 가격 변동은 제거되고 생산량 변동만을 반영하게 된다.이와 같이 GDP를 명목과 실질로 구분하여 추계하는 것은 각각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다.국민경제의 전체적인 규모나 구조변동 등을 분석하고자 할 때에는 명목계열을 사용하며 경제성장, 경기변동 등 국민경제의 실질적인 생산활동 동향 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질계열을 이용한다.한편, 경제성장률(Economic growth rate)이란 일정기간 동안 각 경제활동 부문이 만들어낸 부가가치가 전년에 비하여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보기 위한 지표로서 한 나라의 경제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실질GDP의 증감률로 나타낸다.현재 한국 GDP 통계는 UN이 각국에 권고한 국제기준인 국민계정체계(SNA : System of National Accounts)에 따라 한국은행에 의해 작성되어 분기별로 공표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인 -근데 이렇게만 보면 좀 어렵죠?간단하게는 한국인의 위치와 관계없이 그냥 번 거 전부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인시장에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사실 현재는 빙하기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과거 2017 - 2020 - ? 이렇게 생각하면 2023년이 될 수도 있겠지만 뚜렷한 모멘텀도 없고 특별한 무언가가 없는게 코인시장르의 상황입니다. 그래도 변수는 항상 있을테니 야금야금 모아보는게 어떨까요
대출
대출 이미지
Q.  질문 전세제도를 없애지 못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총기와는 비교 대상이 다른 듯 합니다. 총기의 경우 명확하게 총기파는 회사가 이득을 보지만 전월세의 경우 서로간의 윈윈 개념이라 비교 대상이 아닙니다.다만 전세가 언젠가는 없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오를거라는 믿음이 부족해지면 전세 비중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데 지금이 딱 그런시기인 것 같네요하지만 다시 상승이 된다면 전세는 계속 유지될 듯 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