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오승룡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승룡 전문가입니다.
오승룡 전문가
삼성전자/고려대학교경영전문대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2월 5일 작성 됨
Q.
삼성전자 위기설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 회장 사법리스크와 맞 닿아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는 이재용 회장과 연관되어 있다기 보다는 삼성전자 자체적인 이슈라고 보시는 것이 맞습니다. DRAM에서 가장 잘나가는 HBM의 경우 이미 국내 2위로 쳐지기 시작했고 그냉 디램과 낸드 역시 경쟁자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R&D보다 생산에 너무 집중을 해서 타이밍을 놓치고 있는것은 아닐까 반성이 필요하네요
예금·적금
2024년 2월 3일 작성 됨
Q.
전반기에 미국금리가 인하가 안될것이라고 하는데 왜인가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의경우 지정학적 문제로 여러 피해(중국과 미국 사이에서의 줄다리기)를 받고 있어 피해를 온몸으로 받아내고 있지만 미국의 지표는 현재 골디락스라고 불릴 정도로 좋은 상태를 유지 중입니다. 상반기까지는 사실 내려갈 이유가 별로 없긴하네요. 경제 침체 분위기가 좀 나와야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정책
2024년 2월 3일 작성 됨
Q.
앞으로 친환경정책은 점차 사라지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 분야는 사실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큽니다. 석유 경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ESG를 강조했던 미국의 경우 효율성을 따라올 수 없기에 다시 회귀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결국 친환경정책도 어느정도 경제성이 갖춰지지 않는다면 결국 성공하지 못한다는 결론으로 귀결됩니다. 이러한 부분을 생각해 보면 향후 친환경 정책은 잠시 소강상태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경제용어
2024년 2월 3일 작성 됨
Q.
긱경재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확하게는 자신이 원하고 싶을 때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경제를 총칭합니다. 최근에는 배달일을 하는 사람들이 좋게 보자면 긱, 나쁘게 보면 비정규직이라고 보는게 빠르겠지요. 개인적으로 향후 많은 정규직도 이러한 방식으로 바뀌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경제동향
2024년 1월 25일 작성 됨
Q.
향후 원자력이 중국과 일본으로 발전량이 증가할것으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친환경 에너지가 한동안 유행을 했지만 결국 효율성에서 원자력을 따라올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경제가 어려울 때는 거의 무조건 원자력으로 갈 수 밖에.없습니다(유럽사례)
대출
2024년 1월 25일 작성 됨
Q.
DSR산정시 어떤대출이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로서는 담보대출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Dsr 제한이 오락가락 할 수는 있지만 애초에 신용 대출은 금액 자체가 적고 담보대출이 가장 크게 대출 가능합니다. 예상보다 10~20% 더 대출을 받으시면 안전하실 거 같네요
대출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는 오르는 것이 정상적입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나라의 물가는 약 2% 내외로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게 구성을 합니다. 아마도 나의 월급이 그만큼 오르지 않기 때문에 계속 올라가는 물가가 걱정되는 것이 맞지만 이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금리와는 다소 별게로 보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다만 향후 금리는 무조건 오르기는 어려울듯합니다. 계속 지금 상태로 유지 시에는 경기 하락이 될.수 밖에 없으므로 장기적으로는 하향 추세가.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대출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할부금을 일시금으로 갚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할부금을 일시불로 갚는 것은 가능합니다. 삼성카드의 경우 삼성카드 어플에서 선결제를 통해서 진행이.가능하며 일정량만 갚는 것도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
대출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매도대금 담보대출은 신용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담보대출은 담보를 근거로 평가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용평가에는 연체만 하지 않으면 이상이 없습니다. 다만 신용대출의.총량은 DSR에 의해서 줄어들게 됩니다
경제동향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 이유는?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단 원화는 기축통화가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발생 시 달러로 환전하고자 하는 수요가 발생되서 그러한 이유가 됩니다.다만 최근 상승은 국지적인 상승으로 북한 도발에 의한 문제로 보시는게 맞습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