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옥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옥진 전문가입니다.
옥진 전문가
한우리독서논술토론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6학년 여자아이가 친구 문제로 굉장히 고민을 하고 있는데 어떻게 조언을 해주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상대아이의 결손을 충분히 안타깝습니다. 하지만 잘못하고 있는것은 알려주셔야 그아이에게 오히려 도움이 될거에요. 다만 방법이 중요한데요. 담임선생님께 이 사실을 알리시고. 중재나 해결이되는 통로로 삼으십시요. 그렇게 되면 상대 학부모님도 본인 아이를 돌아보실겁니다. 딸아이가 착하네요. 하지만 잘못을 알려주고 바로 잡는것은 오히려 정의로운 것이라고 알려주십시요. 잘 해결하실거라 믿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여자애들은 진짜 남자애들보다 더동생을잘 돌보나요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남자아이보다는 평균적으로 여자아이가 동생을 잘 본다고 할수 있습니다. 그이유는 남자아이들은 활동적으로 놀고 몸으로 늘면서 유대감을 키우다보니 상대아이가 괴롭힘당한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여자 아이는 덩서적으로 대하는 경향이 있어서 동생들이 편할수 있고 소통이 잘 될수도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신생아는 하루에 얼마나 깨어 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생아는 하루에 두시간에 한번씩 깬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아이들의 개인차가 다르기 때문에 어른처럼 푹 자는 아이들도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두시간에 한번씩 깬다고 보시면 되세요.
놀이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혼자서만 놀이를 하려는 성향이 강하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책도 좋아하고 가족과는 잘 지낸다면 또래보다 성숙하거나 내성적인 아이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이럴경우는 걱정 하시기보다 선생님께 아이와 성향이 맞는 친구를 모둠이나 놀이할때 묶어달라고 부탁해보세요. 아이가 어린이집 공간이 집이 아니어서. 그럴수도 있으니 선생님께 그런부분도 잘. 보육해달라고 꾸준히 말씀 하시는것도 도움이 되세요.
양육·훈육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6학년 아이와 대화를 잘하기 위해선 어떤 점들을 신경써주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일단 이때는 예민하기 때문에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해서 같이 먹자고 해주시고요.부모는 이해하기 힘들지만 요즘에 꽂힌 관심사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것에 대한 핀잔보다는 공감하며관임가져봐 주세요. 관계 유지에 도움이 되실거에요. 물론 본인 맘에 안들면 짜증을 많이 내기는 합니다. 사춘기니 지나갈 사항입니다.대화의 끈만 잘 유지하시는것도 대단하신 거에요. 사춘기는 지나갈거니까요. 힘내시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생후 갓 두달된 아기가 조리원에서 나오고부터 저녁 8시에사 10시 사이에 자지러지게 울어요.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혹시 배앓이는 아닌지 면밀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분유를 먹고 소화가 안돼면 아이가힘들어서 울수 있습니다. 분유먹이고 꼭 트림을 시켜주시고요. 그래도 지속되면 소아과에 방문을해서 확인해 보시는것도 방법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아직 젓가락질을 잘 못하는데 괜찮은 걸까요?
안녕하세요. 4세아이 젖가락질이 잘 안돼는 것은 당연합니다.초등학교 가서까지도 잘 안돼는 친구가 많아요. 발달이 늦은것은 아니니 걱정하지 마시고요. 손가락 끼우는 유아용 젖가락이 있습니다. 시중에 많이 파니까 추천드립니다. 한번 사용해보시고요. 그 젖가락으로 콩이나 물건집기 놀이를 하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양육·훈육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육아를 하면서 너무 힘든 시기가 있는데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번아웃 현상은 한가지 일반 계속하면 생기게 됩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간 사이에 좋아하는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잠시 육아 상태를 잊고 리프레시가 되실거에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6학년 아이의 성장 발달에 도움이 되는 요소들을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 시기는 본인이 하기 싫은 말이나 행동을 취하면 무조건 잔소리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계가 나빠지지 않도록 공감 하면서도 크게 위험하거나 윤리 도덕적으로 어긋나는 일 아니면 독립적 인격으로 대하면서 대해 보세요. 어른되는 과정이라 보니인도 혼란기에 접어드는 시기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사회복지학에서 노인과 아동에 대하여 어떤 관점으로 대해야하는가요
안녕하세요. 노인과 아동의 복지에 대해 사회복지학에서는 존중과 권리 보장 관점을 중시합니다. 이들은 취약한 상황에 있을 수 있으므로 개별화된 지원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관리 측면에서는 협력적 접근과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필요에 맞는 적절한 지원을 해야 합니다. 참고하시길 바래요~!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