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벤트 드리븐이라는 용어는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벤트 드리븐이란, 증권 시장에서 이벤트 중심 투자를 일컫는 말인데요.말씀하신데로 원래는 컴퓨터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였으나, 증권 시장에서는 각종 이벤트로 인한 가격 변동 과정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차하는 전략을 뜻하기도 합니다.이벤트 드리븐 전략을 활용해서 주식과 채권, 전통 자산 과의 상관 관계를 낮추어 투자할 수 있다고 하며 우리나라 상당수의 증권사나 투자신탁사들이 이 전략을 활용한다고 한다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주식에서 공매도라는 말이 있던데 왜 있는것이며 어떤원리 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오히려 공매도는 주가를 올리기보다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애초에 공매도가 주가가 내려가야 돈을 벌기 때문인데요.예를 들어 1만 원에 주식1 개를 공매도했다고 가정했을 때, 주가가 9천 원이 되었을 경우 1주를 9천 원에사서 주식을 갚고,남은 천 원을 남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매도는 사실 기업의 적정 가치 유지를 위해 전세계에서 실행하고 있으며 좋은 점도 있지만,무차별 공매도로 인해 주가가 떨어지는 기업도 있는 만큼 좋지 않은 면도 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경제용어 중 리오프닝, 리오프닝 효과라는 건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어렵게 생각하실 필요없이 리오프닝 영어 그대로 해석하시면 다시 오픈한다는 의미로,코로나로 인해 위축되었던 경제 활동 재개를 의미합니다.이로 인해 항공, 여행, 숙박, 유통, 카지노 등 업종이 수혜를 받을 수 있겠습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중국부동산문제가 제2의 리먼사태가 될수있다던데 리먼사태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리먼 사태란, 미국에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일어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글로벌 금융 위기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이 사건이 일어난 이유는 미국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하였으며,모기지론 부실, 대규모 차압 등 주택저당증권 가치 하락까지 이어지면서 부동산 대침체가 발생하게 되었고소비자지출 및 사업 투자까지 감소하면서 연쇄적으로 금융 위기가 일어난 사태입니다.중국도 현재 부채가 많아져 과거 미국의 금융 위기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데 정말로 일어날지, 아니면 무사히 피해갈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저희 나라도 따라가게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꼭 미국이 올린다고 해서 따라간다는 법은 없지만, 현재 한미 금리차가 꽤 높은 상황인 것은 사실입니다.결국 기준 금리가 올라가야 대출 금리도 올라가게되는데요.한국은행은 전부터 왠만하면 금리를 올리지 않고 동결 기조를 유지하려고 하는 입장입니다.한미금리차가 벌어지게되면, 원달러 환율이 오르는 현상이 있는데 미국이 얼마 전 금리를 5.5%로 올렸을 때에도 원달러 환율이 1200원 중반 때였는데, 현재 8월 19일에는 1340원 까지 오른 상황입니다.과거처럼 1,400원을 다시 돌파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이러한 문제가 지속된다면 한국은행도 결국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