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국내 및 미국 주식에 관심이 많은 유동현입니다
안녕하세요. 국내 및 미국 주식에 관심이 많은 유동현입니다
유동현 전문가
YHB코리아 경제연구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예금·적금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송금을 잘못했는데 돌려받으신분있나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 토스 고객센터측에 문의를 바로 하시길 바라며,잘못된 송금은 무조건 되돌려받을 수 있습니다빠른 시일 내 해결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금리를 정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는 여러 요인에 의해서 정해지게되지만, 정확히 어떤 기준이 있다고 보기엔 어렵겠습니다.여러 요인 중 하나로 소비자물가지수를 보고 금리가 결정되곤하는데, 금리를 올려 물가(인플레이션)를 잡으려고 하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공모주 청약이 요즘 핫한데 공모주 청약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6월 26일을 기준으로 가격제한폭을 공모가의 60~400%까지 확대되었는데요.상장 첫날 가격제한폭을 넓혀 균형가격 발전 기능을 제고한다는 취지에서 현재처럼 바뀌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주식에서 배당이 많이 나오는 주식이 우량한 주식인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론 배당을 많이 주는 기업이 좋은 기업이지만,그에 맞는 실적 또한 좋은 기업이 우량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기업의 재무제표 중 유보율이 높은 기업이 현금보유량이 많은 기업으로, 이런 기업들 또한 우량한 기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정책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기업이 아닌 경제주체를 말할 때 보통 가계나 정부를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기업은 주로 이윤 추구가 목적이지만,가계는 소비와 저축으로 경제 활동을 이어가며,정부는 생활 수준 유지 및 증진, 복지 제공 등이 주 목표입니다.감사합니다.
대출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수요의 증가는 금리 인상으로 봐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몇 가지 정정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1.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화폐의 수요가 증가하면) 시장에서는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서 금융 시장에서는 대출 수요가 늘어나게되는데요.이를 안정시키기 위해 금리 인상을 시행해서 대출을 억제하는, 즉 경기를 진정시키려는 정책 기조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2. 화폐 수요가 증가하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금리 인상으로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안정시키려는 정책을 시행하게 됩니다(코로나 이후 대표적인 미국의 금리 인상 정책)도움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증권사에 HTS이체거래와 MTS이체거래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MTS 는 Mobile Trading System의 약자로모바일 거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H는 Home의 약자)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비트코인 차트를 잘 보려면 무엇부터 시작을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튜버는 개인적으로 추천드리지않고,정말 차트를 공부하고 싶으시다면도서의 경우 서점에 가시면 주식 관련 분야에 해당 책들이 모여있습니다.여러 권의 책을 읽으신 뒤 소액으로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주식에서 거래금액 채우기 사고팔기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돈이 부족하여 단순 매수가 안된다는 말씀이실까요?단순히 사고 팔기를 하신다면 괜찮으실텐데,출금의 경우 D+2 (이틀 뒤)에 가능하시기 때문에 출금이 바로 안되고 증거금 부족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요즘 경기가 안좋은데 향후 경기 전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가 많이 올랐다는 사실이 최근 실감이 많이 되고 있는데요.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 잡기가 쉽지 않은 것 또한 사실입니다.24년부터 미국의 본격적인 금리 인하가 시작되기 전 물가가 잡혀야 금리인하로 부동산 경기 또한 지금보다는 나아지겠습니다.감사합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