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제뉴스보니 미국경제셧다운 비상이라던데 셧다운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상원, 하원에서 기간 내 예산안 처리가 무산되거나, 예산안이 처리되더라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게 되면 셧다운이 일어나게 되는데요. 예산안 처리가 무산되면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 업무 정지가 되는데 이것을 바로 셧다운이라고 하게 됩니다.예산안 처리가 무산되면 공공기관들은 예산을 배정 받지 못하기 때문에 강제 무급 휴가가되면서 필수적인 서비스인 국방,치안, 소방, 항공, 전기 등을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경제학 콘서트 게임 이론 설명이 이해 안 돼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게임이론이란, 한 사람의 행위가 다른 사람의 행위에 미치는 상호의존적, 전략적 상황에서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연구하는 이론입니다.게임이론의 특징으로는, 의사결정자들이 합리적으로 의사를 선택한다는 점인데요. 전략적 상황을 고려한 의사 결정을 그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현실에서 다양한 사례에서 게임이론을 예를 들 수 있는데, 기업과 노동자과의 임금 협상, 정치권 사이의 지지를 얻는 것 등이 모두 게임의 예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올 해 말까지 금리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흘러갈까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확히 국내 금리가 어떻게 될 지는 모르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최근 미국이 금리를 5.5%로 올린 이후 동결을 유지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비율이 2%로 내려갈 때까지는 긴축을 지속한다는 말에 최근 미국 증시는 약세인 모습입니다.미국 연준이나 다양한 금융 기관, 매체에 의하면 올해 금리를 두 번이나 인상할 수 있다는 말이 들려오고 있는데요.그러면 미국 금리가 6%라는 소린데, 이정도 올리면 한미금리차가 너무 벌어지기 때문에 한국은행도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론 올릴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싶지만 국내 부동산 침체 등 우려로 올리기 쉽지 않기 때문에 한국은행이 어떻게 결정하는지 지켜봐야하겠습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