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매달 월 보험료가 100만원이상 나와서 줄이려면?
안녕하세요. 윤상호 보험전문가입니다.4인 가족의 보험료가 120만원 이라면 굉장히 과다합니다.보험료를 30~40만원 줄이고 80만원 이상을 저축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1.가입한 보험에 대한 점검2.불필요하고 가성비가 좋지 않는 보험 정리3.부족한 보험이 있다면 보완4.보험료를 소득의 3~5%이내로 감소5.줄어든 보험료는 반드시 저축과 투자로 연결위의 과정은 혼자서 진행할 수 없고 보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진행해야 합니다.보험으로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아래 내용을 꼭 명심하세요~!!첫째, 본인이 부담이되지 않는 보험료를 먼저 정해서 설계사에게 말한다(보험료 기준=소득의 3~5%)둘째, 그 금액에 맞춰서 설계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보장을 구성해달라고 한다.셋째, 설계사가 이런저런 보장을 추가해서 보험료를 올리려고 해도 본인이 정한 보험료에 맞춰서 구성해 달라고 굳게 버틴다.넷째, 제안받은 가입설계서를 인터넷에 올려 검증을 받는다.(제안받은 설계서에 대해서 크게 욕먹지 않으면 그대로 가입하시면 됩니다)
Q. 혈압약을 아무대비없이 먹으라해서 먹었는데ㅠㅠ 보험을 들기가 상당히 힘들다는거를 알았어요ㅠㅠ40대후반 여성인데 어떤보험을 들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윤상호 보험전문가입니다.혈압이 있으시다면 아무런 병력없이 건강하신 분에 비해서 보험료가 비싸실 수밖에 없습니다.하지만 보험을 가입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1.암관련 보험은 혈압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일반보험으로 심사를 넣어서 가입하시면 됩니다2.뇌, 심장관련 진단비, 수술비, 입원비 등은 혈압과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보험이 아닌 유병자 보험으로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보험은 나이, 성별, 병력에 따라서 본인에게유리한 보험사가 있기 때문에 비교해보고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보험료는 소득의 3~5% 이내로 가입하시고아낀 보험료만큼 투자를 해서 목돈을 만드셔야 합니다.보험은 위험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지자산을 늘리기 위한 상품이 아닙니다.보험으로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아래 내용을 꼭 명심하세요~!!첫째, 본인이 부담이되지 않는 보험료를 먼저 정해서 설계사에게 말한다(보험료 기준=소득의 3~5%)둘째, 그 금액에 맞춰서 설계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보장을 구성해달라고 한다.셋째, 설계사가 이런저런 보장을 추가해서 보험료를 올리려고 해도 본인이 정한 보험료에 맞춰서 구성해 달라고 굳게 버틴다.넷째, 제안받은 가입설계서를 인터넷에 올려 검증을 받는다.(제안받은 설계서에 대해서 크게 욕먹지 않으면 그대로 가입하시면 됩니다)
Q. 무배당교보다사랑유니버셜CI보험 유지 할까요? 해지 할까요?
안녕하세요. 윤상호 보험전문가입니다.ci보험의 문제점은 아래와 같습니다.사망과 중대한 질병 진단비가 연동되어 보험료가 비싸다2.중대한질병의 범주가 10가지 정도가 되는데 그중 1가지의 진단을 받고 나면나머지 9개의 질병이 추가로 걸려도 진단비를 받지 못한다.(최최 1회한으로 되어 있음)3.암의 경우는 그래도 진단비를 지급을 받는 편이지만 뇌졸중, 심근경색의 경우지급조건이 까다로워서 진단을 받고도 아무런 보험금을 받지못하는 경우가 생긴다4.보장에 비해서 보험료가 비싸다.만약 납입기간이 20년이었다면 유지하시라고 말씀을 드렸겠지만아직도 18년의 납입기간이 남았다면 해지하시는 것이 맞으실 겁니다.제가 CI보험을 수없이 봤지만 유지하라고 말씀드린 경우는 1%정도 밖에안되었던 것 같습니다이 보험을 정리하고 손해보험사의 종합보험을 가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암진단비+암주요치료비 3~5천2.뇌혈관진단비 1~2천3.허혈성심장질환 진단비 1~2천4.종수술비5.실손의료비 보험이렇게 구성하시면 됩니다.이외에 담보들은 보험료의 부담정도에따라서 선택적으로 추가하시면 됩니다.보험은 나이, 성별, 병력에 따라서 본인에게유리한 보험사가 있기 때문에 비교해보고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보험료는 소득의 3~5% 이내로 가입하시고아낀 보험료만큼 투자를 해서 목돈을 만드셔야 합니다.보험은 위험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지자산을 늘리기 위한 상품이 아닙니다.보험으로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아래 내용을 꼭 명심하세요~!!첫째, 본인이 부담이되지 않는 보험료를 먼저 정해서 설계사에게 말한다(보험료기준 = 소득의 3~5%)둘째, 그 금액에 맞춰서 설계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보장을 구성해달라고 한다.셋째, 설계사가 이런저런 보장을 추가해서 보험료를 올리려고 해도 본인이 정한 보험료에 맞춰서 구성해 달라고 굳게 버틴다.넷째, 제안받은 가입설계서를 인터넷에 올려 검증을 받는다.(제안받은 설계서에 대해서 크게 욕먹지 않으면 그대로 가입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