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들 양치질을 잘 하게 할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양치 하는걸 번거로워 하거나 싫어 하는 경향이 좀 있어요 치약 맛이 맵다고 하는 아이들은 있습니다 칫솔질은 꼼꼼히 잘하지 않으면 치아가 썩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칫솔질을 도와 주는 것이 치아가 썩는 걸 예방 할수 있어요 치솔질이 어렵고 힘들어 한다면 전동 치솔을 사용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외출후 손을 잘 씻지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바깥에서 활동하게 되면 많은 물건을 만지는 과정에서 손에 많은 병균이 묻게 됩니다 이것을 입으로 가져 가게 된다면 병균에 감염되어 질병이 생겨 나기도 합니다 우선 손을 씻지 않으면 손에 병균이 많이 묻게 된다고 교육 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영상을 찾아 손에 병균이 묻어 있다는 것을 영상으로 보여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손을 씻지 않으면 병균에 감염이 되고 아프면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아야 한다고 이야기 해주면 대부분 손을 잘 씻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고집부리는걸 어떻게지도하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원하는 것이 얻기 위해 고집을 부리거나 떼를 쓰거나 합니다 말로 하는 것보다 고집을 부려 행동으로 보여 주는 것이 빠르고 편하고 원하는 걸 쉽게 얻을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고집을 피우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고집을 피우게 되면 아이에게 " 원하는 걸 말하지 않고 고집을 피우게 되면 너가 원하는 걸 엄마가 알수 없기 때문에 들어 줄 수가 없다" 라고 이야기 하고 아이가 말로 원하는 걸 이야기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고집을 피우지 않고 말로 한다면 원하는 걸 들어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가 고집을 피우지 않고 말을 하면 내가 원하는 걸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 해요 말로 대화가 되면 들어 줄것과 들어 줄수 없는 것을 구분 해서 교육 하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부모와 교사가 유아의 언어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언어 발달과 성장은 아이가 반복적으로 언어를 많이 구사하고 많은 대화를 나누거나 사물에 대해 탐구 하며 토론 하는 것에서 많은 언어적 발달을 볼 수 있어요 사물에 대해 많이 말하게 하고 말하는 과정에서 생각을 많이 한다면 언어적 구사 능력은 많이 올라 가게 됩니다 언어 발달이 좋아 지게 되면 표현 할수 있는 언어도 많이 생겨나기 때문에 아이가 흥분하거나 화가 난 경우 아이가 울거나 떼를 쓰지 않아도 말로 표현 할수 있기 때문에 감정을 앞세우는 것 보다 대화를 통해 해결 할수 있기 때문에 감정 조절에도 도움을 줄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겸손하게 행동하도록 가르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겸손이라는 것은 아이들이 성장 하면서 꼭 필요한 마음 가짐 입니다 성인으로 이여 진다면 항상 다른 사람에게 인정 받고 좋은 사람이라는 것을 인식 시켜 주기 때문에 꼭 필요 하다고 할수 있어요 하지만 겸손을 가르치다 보면 아이가 주눅이 들수도 있어요 잘 한 것이 있어 칭찬 받고 싶은 마음에 부모님께 자랑 했는데 겸손 하라고 봐주지 않는 다면 아이의 자신감이 떨어 질수 있기 때문이죠 칭찬을 할수 있는 행동과 아이가 자만하는 행동의 선을 잘 정해 아이에게 칭찬 할 것은 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겸손 하라고 이야기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놀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친구와의 놀이에서 협동심을 기르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외동 인 경우가 많아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양보나 배려를 배우지 못한 경우가 많이 있어요 친구들과 어울릴 때는 양보도 하고 배려도 해야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 할수 있다고 설명하고 아이가 이해 할수 있도록 말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배려와 양보를 교육 받아 배우지 못하면 좋은 친구 관계를 가지는 것도 어렵고 이런 것을 배우지 못하면 친구와 잘 어울리지도 못해 협동심이나 사회성을 기르는 것도 어렵 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와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꼈을때 대처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처음에는 성격이 맞는 것 같아 친구가 되었지만 아이들은 자라면서 서로 다른 의견을 보일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른과는 다르게 아이들은 자기와 성격이 다르면 함께 어울리고 싶지 않다고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그렇다고 해서 친구와 어울리기 위해 아이의 생각을 말하지 않고 생각이 다른데도 친구와 어울리기 위해 따라가는 것은 옳은 행동이 아니라 생각 합니다 맞지 않는 아이가 있다면 아이와 생각이나 성격이 맞는 친구를 찾는 것이 아이의 정신적인 성장을 위해서 도더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인성 교육을 집에서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바른 마음을 가지고 예의 바른 언어를 사용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가정 환경이 불안하고 불편한 경우 아이의 인성도 좋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항상 아이들 앞에서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거친 언어를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별한 교육 보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따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항상 아이가 어떻게 생활 하는 지 대화 하는 습관이 중요 하고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부모님이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준다면 아이도 다른 친구의 말을 잘 들어 주고 이해 하려는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모든 바른 행동과 부드러운 말이 습관화 된다면 인성이 좋다는 말을 많이 듣게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새로운 친구를 잘 사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자기와 성격이 비슷하고 바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아이에게 호감을 가지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배려와 양보심이 많고 리드쉽이 있는 아이를 선호하게 됩니다 우선 좋은 친구를 많이 만들고 싶으면 내아이도 다른 친구가 보기에 좋은 친구로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친구를 기다리는 것 보다 좋은 친구가 있으면 먼저 다가가서 말을 건네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와 갈등을 겪을 때 어떻게 도와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성장 하면서 친구를 만나고 친구들과 관계를 하면서 사회성을 기르게 됩니다 친구 어울리면서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아 다투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우선 친구와 다투고 왔다면 아이의 마음은 좋지 못하고 기분이 매우 안 좋은 상태 입니다 아이에게 친구와 왜 다투었는지 이야기 듣는 과정에서 아이의 말에 대해 공감을 하고 아이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는 것이 좋습니다 누구의 잘잘못을 이야기 하는 것은 좋지 못한 행동 입니다 친구와 다투어 마음이 좋지 못한 상태에서 잘못을 이야기 한다면 아이의 마음은 더욱 좋지 못합니다 우선 따듯한 위로가 필요 하고 아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어보고 해결 하는 것이 좋을것 같아요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